- 영문명
- A Study on Maternity, Childcare Leave and Flexible Work System: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Discri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장수정(Jang Soo Jung) 박노근(Rhokeun Park)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26호,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출산휴가·육아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가 일하는 여성들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로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출산휴가·육아휴직 및 유연근무제도가 여성들의 일·생활 균형에 도움이 되고, 직장 내 지지 분위기에 따라 활용이 높다는 연구 결과는 있지만 직장 내 성차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2022년 11월부터 2023년 5월 실시된 9차 여성가족패널조사를 활용하였다. 총 9,055명의 응답자 중 타인 또는 회사에 고용되어 임금을 받는 일자리가 있는 응답자 3,287명의 샘플을 활용하였다. 출산휴가·육아휴직 그리고 유연근무제와 일·생활 균형과의 관계에 대한 성차별의 조절 효과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차별이 약할 때 출산휴가·육아휴직 및 유연근무제와 일·생활 균형 사이의 관계가 더 강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도가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 성차별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Maternity leave, parental leave, and flexible work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and used as systems for work-life balance of working women. However, although there are studies showing that maternity leave, parental leave system, and flexible work system are helpful for women’s work-life balance and are highly utilized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support in the workplace, empirical studies on how it differs considering the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re insufficient. This study utilized the 9th Women’s Panel Survey conducted from November 2022 to May 2023. Of a total of 9,055 respondents, a sample of 3,287 respondents who have jobs employed by others or companies to receive wages were us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ity leave, parental leave, and flexible work balance were studi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when gender discrimination was weak,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ity leave, parental leave, and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life balance was more strongly rel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o facilitate meaningful utilization of these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문헌리뷰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연구 통권 제126호 목차
- 20대의 안티페미니즘 인식의 복합적 요인에 대한 젠더 비교 연구
- 출산휴가·육아휴직 제도와 유연근무제에 대한 연구: 성차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 성착취 법적 정의 필요성과 국제 기준에 따른 입법적 시사점
- 기혼여성의 자녀계획 및 자녀관련 가치관이 첫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의 과소대표 원인과 정치리더십
- 여성관리자의 경력자본이 임원승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융합연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여성 연구자들의 참여와 성불평등
-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와 결혼생활 만족도가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 가정폭력에 대한 반격과 위법성조각 - 비대결상황에서 반격살인을 중심으로
-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활용한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 요인 관계 구조 분석
- 누가, 왜 다른 워라밸을 경험하는가?: 한국 여성 임금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유형과 예측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 미국의 보육정책 - 시장화 전략과 잔여적 보육정책
-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