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송영진
- 간행물 정보
- 『연구보고서』2025년 2호 (8월), 1~101쪽, 전체 10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현대인의 분신이 된 스마트폰은 범죄 행위와 관련된 핵심 증거를 담고 있는 ‘디지털 증거의 보고(寶庫)’로서, 실체적 진실 발견과 효과적인 범죄 대응을 위해 그 안에 담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수사상 필수적이다.
스마트폰은 통신 내역, 금융 정보, 위치 정보, 사적인 대화, 사진 등 개인의 거의 모든 정보가 집약된 저장소이기 때문에, 그 정보획득 과정은 헌법상 보장된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통신의 비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및 진술거부권 등 다양한 기본권을 제한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대한 압수수색은 헌법상 영장주의와 적법절차원칙, 과잉금지원칙 등 엄격한 헌법적 통제가 요구되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수사의 실효성 확보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두 헌법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 합헌적 규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폰 정보의 특수성과 그 획득 과정에서 제한되는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통신의 비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진술거부권 등 헌법적 쟁점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영장주의와 자기부죄거부특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미국과 데이터 보호 원칙을 강조하는 유럽연합(EU)의 주요 판례 및 법제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여 국내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압수수색영장 발부 단계, 영장 집행 단계, 그리고 집행 종료 후 단계로 나누어 각 절차에서 헌법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법원의 사전 통제 강화,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및 참여권의 실질적 보장, 혐의와 무관한 정보의 삭제·폐기 의무화 및 검증 절차 마련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정보의 특성과 정보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Ⅲ. 수사실무상 스마트폰 정보획득의 현황 및 문제점
Ⅳ. 비교법적 검토
V. 입법적 개선방안
Ⅵ.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에 관한 헌법적 검토
- 초・중・고 학생선수 최저학력제 관련 헌법적 쟁점 검토
- 탄핵소추절차와 관련한 주요 헌법적 쟁점
- 정년제와 임금피크제의 헌법적 쟁점 검토
- 정교분리원칙에 대한 헌법적 연구
- 기본권으로서 안전권 논의에 대한 검토
-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 - 유럽연합의 기업지속가능성 실사지침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