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co-label Effects of Green Advertising by Its Presentation Sty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Persuasive Knowled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ocus of At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재영(Jaeyoung Kim) 안대천(Daechun An) 왕의니(Yini Wang) 이원재(Wonjae Lee)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5호, 109~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친환경제품 광고에서 에코라벨은 사회적 단서로써 소비자에게 친환경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지만, 이를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는 경우 소비자의 설득지식을 활성화하여 부정적인 광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에코라벨의 제시형태(명시적 vs. 암시적)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소비자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처리유창성과 설득지식의 매개효과와 주의초점(독립적 vs. 상호의존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에코라벨이 명시적으로 제시될 때 처리유창성은 더 높게, 설득지식은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코라벨의 제시형태와 광고태도 간의 관계에서 처리유창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반면, 설득지식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에코라벨 제시형태에 따른 효과는 소비자의 주의초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주의초점이 독립적인 경우 암시적, 상호의존적인 경우 명시적으로 제시될 때 처리유창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에코라벨의 제시형태가 처리유창성을 통해 광고태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주의초점이 상호의존적인 경우 더 강하게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delve into the complex nature of consumer responses to green advertising, this study examines how presentation styles(implicit vs. explicit) of eco-labels in advertising influence ad attitudes. In doing so, processing fluency and persuasive knowledge are used as mediator variables while consumers' locus of attention (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is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s from an online experiment with a sample of 148 adult consumers show that when eco-label is presented in explicit form, respondents exhibit more favorable ad attitude than in implicit form by increasing processing fluency. In addition, it is also found that when eco-label is presented in explicit form, consumers’ persuasive knowledge is higher than in implicit form. However, its negative effect i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rocessing fluency, while the mediating effect of persuasive knowledge is not significant. It is also found that locus of atten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abel style and processing fluency. That is, for those with an interdependent locus of attention, processing fluency is higher if eco-label is presented in explicit style while for those with an independent locus of attention, processing fluency is higher if eco-label is presented in implicit style.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its presentation style on ad attitudes through processing fluency is stronger when the locus of attention is interdependent, thereby confirming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혼합정서의 이면: Plutchik (1980)의 다차원적 정서관점으로 본 외로움과 강박구매의 상관관계 분석
- 섬유패션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기업 종사자 및 일반인의 인식차이: IPA기법 활용
- 인공지능 시대 경영학 교육의 핵심역량, 커리큘럼, 교수법 혁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델파이법 접근
- 스마트폰 시장 트렌드 예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기반 미래신호예측 방법론: 갤럭시 S25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K뷰티 차별화 전략을 위한 고객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연구
- 코로나19가 R&D 투자성과에 미친 영향: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에 의한 한중 의식주 문화 이미지 편향 및 교정을 위한 최적화 연구
- AI 창작물의 오리지널리티 인식과 소비자 반응: 예술성과 상업성 맥락의 조절효과
- 골프 이용자의 국내 골프장 선택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 이용 만족도, 지각된 가치, 충성도에 관한 연구
- 비교에서 행동으로: 외모비교성향이 뷰티 관련 제품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소셜미디어 사용행동의 매개역할
- 그린소비자의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비용 구조에 따른 친환경 제품 구매의 결정요인 연구
- 매몰비용 효과를 고려한 플랫폼 구독형 멤버십의 게임이론적 분석
- 에코라벨의 제시형태에 따른 친환경제품의 광고효과: 처리유창성, 설득지식의 매개효과와 주의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영자 내러티브와 감성 브랜드 전략: Raydel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혼합정서의 이면: Plutchik (1980)의 다차원적 정서관점으로 본 외로움과 강박구매의 상관관계 분석
- 섬유패션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기업 종사자 및 일반인의 인식차이: IPA기법 활용
- 인공지능 시대 경영학 교육의 핵심역량, 커리큘럼, 교수법 혁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델파이법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