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Vice Principals’ Role-Performing Experiences in a Public Alternativ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현아(Hyunah Kim) 이정주(Jeongju Lee) 이종연(Jongyeun Lee)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1권 제3호, 153~18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립대안학교 교감의 역할 수행 경험을 내부자의 시각에서 세부적으로 조명함으로써 공립대안학교 교감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공립대안학교의 교육적 가능성 실현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치유형 공립대안학교에서 교감직을 수행한 두 명의 연구자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교감 역할 수행의 전 과정을 성찰적으로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형 공립대안학교 교감은 실천적 정당성을 기반으로 내부 임용되었으며, 이는 기존 제도와의 구조적 긴장을 드러냈다. 둘째, 치유형 공립대안학교 교감은 위기학생 돌봄, 생활교육과정 운영, 교사 공동체 지원, 외부자원 연계 등 다중적 실천 리더십을 수행하였다. 셋째, 제도권의 획일적 인사제도는 치유형 공립대안학교의 자율성과 정체성을 위협하며 교감직 지속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립대안학교의 실천 기반 리더십 제도화 및 유연한 인사체계 마련, 치유형 공립대안학교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dentity of vice principals at a public alternative school by closely examining their role-performing experiences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and to der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aliz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wo researchers who served as a vice principal at a therapeutic public alternative school reflectively explored the entire process of their role-performing experiences using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ce principals of a therapeutic public alternative school were internally appointed based on practical legitimacy, revealing structural tensions with existing institutional frameworks. Second, the vice principals performed multifaceted practical leadership roles, including caring for at-risk students, managing therapeutic curricula programs, supporting teacher communities, and connecting with external resources. Third, the standard personnel system within the mainstream educational framework threatened the autonomy and identity of a therapeutic public alternative school, making it difficult for vice principals to sustain the vice principal role.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policy improvements for institutionalizing practice-based leadership in public alternative schools, establishing flexible personnel systems, and safeguarding the identity of a therapeutic public alternative school.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치유형 공립대안학교 교감의 근무 경험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예술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쟁점: 만화소설 형식의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심화전공 탐색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상담전문가 정체성 발달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 목회자 성인초기 자녀의 대상관계 경험 연구
- 언어폭력 내담자와의 치료 관계에서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소진 과정과 회복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공립대안학교 교감 역할 수행 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질적탐구 제1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예술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쟁점: 만화소설 형식의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