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Risk Factor Action Characteristics on Reducing of Accidents at Small Construction Sit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eong Ryu In S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7, 15~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재해의 30.3%를 차지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위험요인별 조치의 유형, 수준 및 적시성이 사고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토안전관리원이 2024년 실시한 15,990개 건설현장 점검자료이며, 총 31,837건의 지적사항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기초통계량 분석, 카이제곱 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위험요인 조치와 사고발생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잠재된 위험요인은 추락ㆍ물체맞음(52.6%), 끼임ㆍ보호장비 미착용(22.4%), 작업자 위반행동과 부적절한 관리(15.0%), 장비 충돌ㆍ협착과 관리감독 미흡(10.0%)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 제거는 기술적 조치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조치와 교육ㆍ지도는 이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할용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무사고 현장처럼 조치를 잘 할수록 사고발생 가능성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반대로 조치가 지연되거나 위험요인 수가 많을수록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향후 소규모 건설현장은 기술중심의 물리적 조치를 강화하고, 7일 이내 완전이행과 적시대응체계 정착을 위해 현장점검제도의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type, level, and timeliness of risk removal on accident occurrence in small construction sites, which account for one-third of industrial accidents. The study data identified a total of 31,837 cases through inspections of 15,990 construction sites conducted by the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KALIS) in 2024. As a result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falls and being struck by objects (52.6%), snagging and human behavior (22.4%), worker misconduct and inadequate administration (15.0%), equipment collisions and contacts, and inadequate management and supervision (10.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f timely and appropriate risk mitigation is taken, the likelihood of an accident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if the action is delayed or there are many risk factors, the risk of an accident increases.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small construction sites strengthen technology-driven physical measures and establishing a timely response system within seven days of the discovery of risk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건설공사 현장점검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의 설계 및 방법
Ⅳ. 위험요인 발굴ㆍ조치영향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뉴욕소방본부장 임명제도가 소방예산 및 인력확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원의 불확실성과 변화 동인이 RTO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나리오 플래닝 분석
- 동기부여 이론에 기반한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재난안전지식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의 우선순위 도출
- 기상 조건과 가뭄지수가 대형산불 지속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공지능(AI) 기반 인사행정에서 공공가치 위기에 대한 분석과 대응
- 외국인 밀집지역 내 범죄에 대한 외사경찰의 효과적 대응전략 연구
- 접경지역 생태관광 사업 편익 및 개발 고려 요소 - 공유하천 임진강을 대상으로
- 지방자치단체의 농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 정책 방향 - 용인시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내재화된 낙인,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재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한 장기요양시설과 주야간보호서비스 지역친화도 영향요인 분석
- 한국형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이 재난 대응 업무 종사자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치매환자 가족의 돌봄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 대상 진로지도 교과목 운영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Chat GPT 활용에 대한 지속사용 의도, 디지털 리터러시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Regulatory Approaches to Cosmetic Safety and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ocusing on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China, and Taiwan
-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ntention to Receive the Vaccin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 Factors Influencing Social Life Interference Due to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mong Young Adults and Middle-Aged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18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