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Risk Factor Action Characteristics on Reducing of Accidents at Small Construction Sit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eong Ryu In S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7, 15~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재해의 30.3%를 차지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위험요인별 조치의 유형, 수준 및 적시성이 사고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토안전관리원이 2024년 실시한 15,990개 건설현장 점검자료이며, 총 31,837건의 지적사항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기초통계량 분석, 카이제곱 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위험요인 조치와 사고발생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잠재된 위험요인은 추락ㆍ물체맞음(52.6%), 끼임ㆍ보호장비 미착용(22.4%), 작업자 위반행동과 부적절한 관리(15.0%), 장비 충돌ㆍ협착과 관리감독 미흡(10.0%)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 제거는 기술적 조치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조치와 교육ㆍ지도는 이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할용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무사고 현장처럼 조치를 잘 할수록 사고발생 가능성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반대로 조치가 지연되거나 위험요인 수가 많을수록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향후 소규모 건설현장은 기술중심의 물리적 조치를 강화하고, 7일 이내 완전이행과 적시대응체계 정착을 위해 현장점검제도의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type, level, and timeliness of risk removal on accident occurrence in small construction sites, which account for one-third of industrial accidents. The study data identified a total of 31,837 cases through inspections of 15,990 construction sites conducted by the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KALIS) in 2024. As a result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falls and being struck by objects (52.6%), snagging and human behavior (22.4%), worker misconduct and inadequate administration (15.0%), equipment collisions and contacts, and inadequate management and supervision (10.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f timely and appropriate risk mitigation is taken, the likelihood of an accident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if the action is delayed or there are many risk factors, the risk of an accident increases.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small construction sites strengthen technology-driven physical measures and establishing a timely response system within seven days of the discovery of risk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건설공사 현장점검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의 설계 및 방법
Ⅳ. 위험요인 발굴ㆍ조치영향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