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세계화 담론 속에 나타나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의 문제 - 2000년대 ‘한국어 세계화’ 담론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hallenges of “Gugeo” Monolingual Language Ideology in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 Emergence and Development in the 2000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백승주(Seungjoo Baek)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3호, 225~25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0년대에 본격적으로 출현한 ‘한국어 세계화’ 담론을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어’가 가진 단일언어 이데올로기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어’ 체제가 영어 공용어화라는 이름으로 마주하게 된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자신의 외부를 발견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세계화’를 주요 주제로 한 2000년대의 논문 분석을 통해 이 시기 한국어 세계화 담론에서 상상한 한국어 세계화의 대상이 서구이며, 한국어 세계화를 정당화시키는 논리도 한국과 한국어가 안트로포스가 아닌 후마니타스임을 서구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욕망에 바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가 한국어 세계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생존자, 피해자, 구원자’라는 서사를 구축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3, 225-256.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emerged prominently in the 2000s, with special focus on the monolingual language ideology of “Gugeo” (Korean). First, the study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Gugeo” monolingual ideology and describes how the “Gugeo” system delineated its external boundaries while responding to the neoliberal ideology, especially under proposals advocating English as a second official language. Next, the study reviews academic papers from the 2000s concerning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West was the primary target in the discourse on Korean language globalization during this period. Furthermore, the rationale for globalization was driven by a desire to be recognized by the West as a humanities subject rather than an anthropology subject. Finally, the study examines how the “Gugeo” monolingual language ideology constructed a narrative positioning the Korean language as survivor, victim, and savior to justify its globalization effor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목차

1.들어가며:‘한국어 세계화’에 대해 질문하지 않는 것
2. ‘국어’에는 외부가 없다 : ‘국어’라는 단일언어 이데올로기
3. 외부로부터의 침입, 영어라는 이름의 세계화
4. 경계 인정 받기: 안트로프스에서 후마니타스로
5. 한국어 세계화의 서사: 생존자, 피해자, 구원자
6. 나오며: 한국어 세계화가 은폐하는 언어 풍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승주(Seungjoo Baek). (2025).한국어 세계화 담론 속에 나타나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의 문제 - 2000년대 ‘한국어 세계화’ 담론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2 (3), 225-255

MLA

백승주(Seungjoo Baek). "한국어 세계화 담론 속에 나타나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의 문제 - 2000년대 ‘한국어 세계화’ 담론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2.3(2025): 225-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