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e of Item Types in a Chosŏnŏ Proficiency Assessment Application for Foreign Learners : Focusing on ‘SOYU(1.0)’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한근(Hang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3호, 105~1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에서 개발한 조선어 능력 평가 애플리케이션 ‘소유(1.0)’에 탑재된 문항들의 유형과 구성 방식을 분석하여 체계의 특징과 교육적 함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내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총 1,234개의 문항을 수집한 후 각 문항에 부착된 short_name, long_name, frag_type 등의 코드 체계를 중심으로 문항 유형을 언어 기능별로 분류하고 계열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유(1.0)’은 각 언어 기능별로 세분화된 유형 구성과 난이도 차별화를 통해 학습자의 숙달도와 기능 발달 단계를 반영하려는 체계적 설계를 보였으며 특히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고려한 평가 문항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조선어 교육 평가 체계를 디지털 기반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시도 중 하나로 향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및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평가 비교 연구 및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3, 105-136.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structural patterns of test items embedded in “SOYU(1.0)”, a Chosŏnŏ proficiency assessment application developed in the DPRK, to identify the system's key featur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 total of 1,234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application’s internal data and classified by language functions using a multi-code scheme comprising short_name, long_name, and frag_type. The analysis reveals that ”SOYU(1.0)”demonstrates a systematically designed structure that reflects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developmental stages through function-specific item typologies and differentiated levels of difficulty. 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of items considers real-life communicative situations, highlighting the application's complex and layered approach to language assessment. This study represents one of the first empirical analyses of the DPRK's Chosŏnŏ evaluation system in a digital context and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comparative research in KFL, including within the DPRK context. (Yonsei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조선어소유급수체계’ 변화
	                       
	                          4. 문항 유형별 구성 방식
	                       
	                          5.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 방안 - ‘목차 구성하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온라인 읽기 전략 연구 - 소셜 텍스트와 동영상 텍스트를 중심으로
- 한국어 통합 교재에 수록된 시각 텍스트의 유형 및 교육적 기능 분석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조선어 능력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문항 유형 구성 방식 분석 연구 - ‘소유(1.0)’을 중심으로
- 한국어와 베트남어 직장 내 호칭어의 화용적 기능 비교 연구
- 네이티브 멀티모달(Natively Multimodal) AI 기반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효과 연구 - 구글(Google)의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 활용을 중심으로
- 해외지역 한국학 자생기반 구축방안 연구 - 한국학 전공자 취업 활성화를 중심으로
- 한국어 세계화 담론 속에 나타나는 ‘국어’ 단일언어 이데올로기의 문제 - 2000년대 ‘한국어 세계화’ 담론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성에 기반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글쓰기 과제 수행 연구
- 세종학당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 - 국내·외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 일본 대학 초급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의식 변화와 이문화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어 연구 - ‘파란색’ 계열 색채어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정도부사 사용 양상 연구
- 문화 체험을 위한 한글 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면담 수행에 나타난 질문 양상 연구
-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