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학의 원리에 대한 바빙크(Herman Bavinck)의 이해: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 E. Schleiermacher) 와의 조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Herman Bavinck’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Theology: In Relation to His Confrontation with Friedrich Schleiermacher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허동원(Dong-Won Heo)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73권, 261~30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신학의 원리와 관련하여 19세기 신학계를 지배했던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인 슐라이어마허의 의식의 신학을 비판적으로 읽어낸 동시에 슐라이어마허를 통해 개혁주의 신학의 현대적 발전을 도모한 바빙크의 입장을 『거룩한 신학의 학문』과 『개혁교의학』제1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바빙크 당시에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이 화란 신학계에 미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다음, 『거룩한 신학의 학문』에서 슐라이어마허와의 대결을 회피하지 않은 바빙크의 입장을 고찰하고, 이어서 『개혁교의학』제1권에 나타난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바빙크의 비판적 견해를 살펴본 후에, 결론적 평가를 내릴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19세기 이래 슐라이어마허가 교의학에 끼친 주관주의적 의식의 신학의 영향에 맞서서 바빙크가 개혁주의적이고 신칼빈주의적인 지성적 씨름을 통해서 거룩한 학문인 교의학의 기독교적 가치(pearls and leaven)를 학문적으로 뿐만 아니라 신학적으로정당하게 입증하였으며, 그로 말미암아 현대문화의 진보의 빛 아래 기독교 신학을 위한 미래를 창출하고자 했던 바빙크의 진정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ology in Herman Bavinck with regard to his confrontation with Friedrich Schleiermacher, the Father of 19th century modern and liberal theology. Bavinck tried to read critically Schleiermacher’s theology of the consciousness and he at the same time attempted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subjective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So we first deal with his position expressed in his inaugural address of professorship “De wetenschap der Heilige Godgeleerheid”, and secondly with the first volume of his masterpiece Reformed Dogmatics. We also examine the theological contexts of the Netherlands under the influence of Schleiermacher in Bavinck’s days. Then we survey the critical position of Bavinck who did not avoid the confrontation with Schleiermacher in the above-mentioned two works. We may understand from this study the fact that Bavinck had been in an intellectual wrestling with Schleiermacher based on his reformed and Neo-calvinistic perspective to prove the value of sacred science, that is dogmatics, not only scientifically but theologically as well. Thus it becomes clear that Bavinck intended to secure a significant future for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 his contact with the progressive modern cultur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베를린과 깜쁜: 슐라이어마허와 19세기 네덜란드 신학
3 『거룩한 신학의 학문』으로서 교의학의 독립성과 거룩성
4 『개혁교의학』 제1권에 나타난 신학의 원리: 슐라이어마허와의 대결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의와 사랑의 입맞춤(II): 암브로시우스의 서신들에 나타난 4세기 후반 교회-국가의 관계 문제와 성직자 의무론
- 중세 후기 세 개혁 공의회와 공의회주의
- 존 웨슬리의 은혜 개념 비판: 칼빈주의의 은혜 교리 거부
- 칼빈의 삼위일체론의 종교개혁적 함의
- 신학의 원리에 대한 바빙크(Herman Bavinck)의 이해: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 E. Schleiermacher) 와의 조우를 중심으로
- 신앙고백의 의례적 구성과 실천: 십계명, 주기도, 그리고 사도신경을 중심으로
- 북한교회 개척 시나리오와 전략에 관한 연구
- 타투의 사회적 인식변화에 대한 목회신학적 고찰
- 멜란히톤의 법정적 칭의론 연구: 믿음의 영원한 현재성과 지속성에 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