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시스템 효율성의 매개효과 및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RM on HR Employee’s Job Performance :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ystem Effici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 Agility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김예진(Yejin Kim) 최수형(Su-heyong Choi)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32권 제3호, 185~21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직 내 인공지능(AI)의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인적자원관리(HRM) 분야에서도 AI 기반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HRM에서 AI를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인 HR 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AI-HRM)가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AI-HRM이 두 가지의 시스템 효율성 형태인 업무 효율성과 의사결정 효율성에 대한 직원의 인식을 강화시키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무성과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업무 효율성과 의사결정 효율성 각각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HR 부서 직원의 민첩성 수준에 따라 차등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HRM 분야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에 종사하는 HR 부서 직원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AI-HRM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HRM과 직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는 직원들이 인식하는 시스템 효율성(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AI-HRM은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을 높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직원이 AI 기반 HR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인식할수록 개인의 직무성과가 향상되며, 이러한 긍정적 영향은 개인의 민첩성 수준이 높을수록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HRM 시스템에서의 AI 도입 및 활용의 중요성과 개인의 민첩성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organization, the adoption of AI-based system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has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focused on HR managers who directly utilized AI in practice, aiming to examine how AI-driven HRM(AI-HRM) influences employee job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study assumes that AI-HRM strengthens employees’ perceptions of two distinct forms of system efficiency-work efficiency and decision-making efficiency-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 their job performance. Furthermore, we propose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efficiency and job performance may be dependent on the agility level of HR managers, thereby introducing employee agi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To empirically test these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73 HR managers working in companies across South Korea that have adopted AI in their HR systems. The results indicate that AI-HRM positively impacts employee job performance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employees’ perceptions of system efficiency. In other words, AI-HRM contributes to increased perceptions of work and decision-making efficiency, which lead to enhanced job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finds reveal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ystem efficiency on job performance is stronger among employees with higher levels of agility.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AI in HRM systems and fostering employee agility in order to fully realize the benefits of AI-based HRM in the workpla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HRM beats big bucks? The Influence of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pay level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 임파워링 리더십이 변화주도행동에 미치는 비선형효과 -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통한 향상초점의 매개된 조절효과
- 집단주의 성향이 개인-조직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기업 종사자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 과학기술 분야 연구실 안전 교육 학습자의 VR(가상현실) 기술사용의도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 소비자의 CCM인증(소비자중심경영)기업에 대한 인식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SG 경영 기대와 태도의 매개효과
- 상사의 안전리더십과 구성원의 안전태도 및 안전행동 간 관계연구
- LMX가 상대적 박탈감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SC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시스템 효율성의 매개효과 및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도전적 목표가 성과왜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이차원(개인지향, 조직지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 지각된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칭 및 멘토링 효과에 대한 인식 일치성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