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RM beats big bucks? The Influence of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pay level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전향숙(Hyangsuk Jeon) 정현선(Hyun Sun Chung)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32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기부여 이론의 관점에서 인적자원관리 강도 인식(perceived HRM system strength)과 임금수준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탐구하였다. 직무 만족도와 조직 동일시를 매개로 인사관리강도 인식과 임금수준의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고임금 집단과 저임금 집단으로 구분하여 임금 수준이 양 집단간에 서로 다른 심리적 과정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주장한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국 기업 500개에 속한 2,56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인사관리강도 인식과 실제 급여는 모두 직무 만족도 및 조직 동일시를 통해 이직 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집단과 저임금 집단 간에는 경로의 패턴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고임금 집단에서는 급여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직 의도를 직접적으로 낮추는 반면, 저임금 집단에서는 급여가 직무 만족도를 통해서만 이직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의 분석 결과는 임금이 외적 동기 요소로서 위생 요인이며, 인사관리강도 인식은 내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관리적 전략임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전통적 동기부여 이론의 시각과 맥락을 같이한다. 이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인사관리강도 인식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함과 동시에 인사관리 정책 변화 관리에 중요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rough which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salary levels affect turnover intention from a motivational theory perspective. We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salary, while arguing that salary may trigger different psychological processes between high-salary and low-salary groups. To test our hypotheses, we utilized secondary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and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n a sample of 2,566 employees from 500 Korean companies. The results show that both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actual salary reduce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dditionally, we found differences in path patterns between high-salary and low-salary groups. In the high-wage group, salary directly reduces turnover intention without affecting job satisfaction, whereas in the low-salary group, salary only indirectly influences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Our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salary functions as a hygiene factor representing extrinsic motivation, while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serves as a managerial strategy that can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aligning with traditional motivational theory perspectives. This study emphasizes the practical importance of managing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provide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HRM policy change manage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향숙(Hyangsuk Jeon),정현선(Hyun Sun Chung). (2025).HRM beats big bucks? The Influence of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pay level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인적자원관리연구, 32 (3), 1-22

MLA

전향숙(Hyangsuk Jeon),정현선(Hyun Sun Chung). "HRM beats big bucks? The Influence of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pay level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인적자원관리연구, 32.3(202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