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n-depth Gender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Out-of-School Girls: Evidence from Nepal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국제개발협력학회
저자명
김윤정(Yunjeong Kim) 송지선(Jisun Song)
간행물 정보
『국제개발협력연구』제17권 제3호, 59~7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네팔의 학교밖 여아의 학업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개인, 교육환경, 경제, 가정환경, 문화 및 젠더 규범 등 5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네팔 학교밖 여아에 대한 체계적 이해 및 개발도상국 여아의 교육 접근성 개선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네팔 여아의 교육기회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와 질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이라는 질적, 양적방법론을 같이 활용하여 네팔의 3개 지역에서 학교밖 소녀(10-16세)의 교육 저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통계는 STAT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반구조적 인터뷰 질문을 토대로 포커스 그룹 면접과 핵심 정보제공자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양적, 질적 분석결과 5개 영역의 요인들이 학교밖 여아의 교육 접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분석에서는 지역, 계층 및 형제 수, 통학 거리, WASH(물과 위생) 시설의 유무, 학교밖 또래 집단의 압박, 결혼에 대한 지역사회의 압박이 여아의 학업 접근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질적조사에서는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집안일에 대한 부담, 가정환경, 학업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분위기 등이 학업에 관심을 잃게 만드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연구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제적 생계 지원과 함께 부모, 지역사회 등을 대상으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포함하는 통합적, 지속적인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국가 교육정 책은 명확성, 효과성, 책무성 강화를 위해 조화롭고 통합된 방식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소외계층이 포함된 참여적 정책 결정과정이 중요하다. 넷째, 학교 환경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조혼 등 여아의 교육 기회를 저해하는 유해한 관행에 대한 대응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out- of-school girls in Nepal across five different categories: demographic, education, economic, household, and culture and gender norm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will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ut-of-school girls in Nepal and provide recommendations to enhance girls’ access to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Originality: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various factors that prevent girls’ access to education in Nepal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research. Methodology: Drawing on a mixed-methods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quantitative survey data and qualitative interview results collected from out-of- school girls between the ages 10-16 across three districts in Nepal. The survey was analyzed by STATA, and interviews consisted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key informant interviews of relevant stakeholders. Result: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multiple factors across the five categor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ut-of-school girls’ access to education in Nepal.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district, ethnic group, number of siblings, distance to school, lack of WASH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facilities, peer pressure, and community pressure for early marriage acted as major barriers. Qualitative analysis highlighted parental perceptions on education, household chore burden, and limited family support as contributing factor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the need for integrated government support, participatory policymaking,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and sustained efforts to eliminate harmful practices such as child marriage.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Research Methodology
IV. Research Findings
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정(Yunjeong Kim),송지선(Jisun Song). (2025).In-depth Gender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Out-of-School Girls: Evidence from Nepal. 국제개발협력연구, 17 (3), 59-77

MLA

김윤정(Yunjeong Kim),송지선(Jisun Song). "In-depth Gender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Out-of-School Girls: Evidence from Nepal." 국제개발협력연구, 17.3(2025): 5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