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I System for Semiconductor Defect Detection Processes Using an LLM-Based Interface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장지우(Jiwoo Jang) 김무진(Mujin Kim) 박영진(Youngjin Park) 한기준(Keejun Han)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2권 제3호, 123~1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불량 검출 시스템에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기반 챗봇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AI 시스템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설계된 4계층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사용자의 자연어 입력을 API 통신을 거쳐 언어 모델에서 추론한 후, URL을 매핑하고하드웨어 제어 함수를 호출하여 공정 동작을 자동화한다. 언어모델 Exaone-2.4B, Exaone-7.8B, Trillion-7B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5-fold 교차 검증을 통해 복합 의도 및 오타 변형 명령에 대한 응답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적용한 결과, 다중 의도 및 형태 변형질의에서 30–35%p의 정확도 향상을 확인하였다. 모델별 비교에서는 Exaone-7.8B가 86.7%의 전체 정확도와 평균 0.28초의 응답 시간을 기록하여, 제한된 운용 환경에서 균형 잡힌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자연어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의존도를낮추고, 반도체 제조 현장의 사용자 접근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nd implements a AI system that applies a large language model (LLM)-based chatbot interface to semiconductor defect detection. The proposed four-layer service framework processes natural language inputs from users through API communication, performs inference using a large language model, maps the output to predefined URLs, and triggers hardware control functions to automate process operations. We comparatively evaluated sLLM models Exaone-2.4B, Exaone-7.8B, and Trillion-7B, measuring response accuracy on complex intents and misspelled commands using 5-fold cross-validation. With prompt engineering, we observed a 30–35 percentage point improvement in accuracy for multi-intent and morphologically altered queries. Among the models, Exaone-7.8B demonstrated the most balanced performance, achieving an overall accuracy of 86.7% with an average response time of 0.28 seconds under constrained operating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natural language interfaces can reduce dependence on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hile improving user accessibil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nvironments.
목차
1. 서 론
2. 관련 연구
3. 구 현
4. 실험 방법
5. 실험결과
6.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 하프늄 산화물 게이트 유전막이 MoS2 FET 성능에 미치는 영향
- 갈륨 입자의 분산 및 상변화에 관한 연구
- 전류밀도 분포 분석을 통한 배선 레이아웃 단순화 및 집적도 향상 기법
- 반도체 특성 인자에 대한 데이터 기반 해석 기법을 이용한 분석연구
- 인공지능 기반 Ag 소결층 기공구조와 유효 열전도도의 상관관계 분석
- MXene 입자가 첨가된 Sn-58Bi 나노 복합 솔더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접합 처리 조건에 따른 SiCN-SiCN 본딩 특성
- 정밀 본딩을 위한 플렉셔 기반 본더 헤드 설계 및 FEM 해석을 이용한 성능 평가
- 블롭 분석 기반 마이크로 핀 정밀 계측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AI 기반 역설계 모델을 활용한 유기 RDL 인터포저의 특성 임피던스 최적화 연구
- SiC 기반 멀티칩 파워 모듈의 기생인덕턴스 저감 및 균일화 설계 방법
- LLM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반도체 불량 검출 공정의 AI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펄스 도금이 철-니켈 합금층 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인바 필름 제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