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iability of Fatigue Deformation for Flexible Substrate-Metal Thin Film System Varying Interfacial Adhesion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허정아(Jeong-A Heo) 박명철(Myeong Cheol Park) 남인(In Nam) 이소연(So-Yeon Lee)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2권 제3호, 24~3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연 전자기기에서 반복 변형 시 Cu 배선의 계면 박리와 균열은 장기 신뢰성 확보의 주요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기판 상 Cu 박막의 두께별 최적 계면 처리 방법을 규명하기 위해 플라즈마 처리와 Cr 접착층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100–500 nm Cu 박막에 대해 나노스크래치와 반복 굽힘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막 두께에 따라 계면 처리 효과가 현저히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100 nm 박막에서는 플라즈마 처리가 5.56 ± 0.545 mN의 최고 접착력을 보였으나, 500 nm 박막에서는 Cr 접착층이 11.66 ± 0.949 mN로 가장 우수한성능을 나타냈다. 반복 굽힘 시험(1.5% 인장 변형률, 30,000 cycles)에서는 모든 시편이 전기저항 증가를 보였으나, 박막 두께에 따라 뚜렷한차이를 보였다. 얇은 박막에서는 플라즈마 처리가 균열 발생 억제와 전기적 안정성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두꺼운 박막에서는 Cr 접착층이 우수한 피로 저항성을 제공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관찰 결과, 균열 패턴은 박막 두께와 계면 처리방법에 따라 달랐으며, 동일 변형률 조건에서 두께 증가에 따라 균열 구동력(에너지 방출률, G)이 커져 플라즈마 개질로 상승한 계면 인성의상대 이득이 체감되며, Cr 접착층은 구속·경로 편향 효과로 두꺼운 박막에서도 전파 억제에 유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연 전자기기의 박막 두께별 최적 계면 설계 지침을 제시하며,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구조적 설계 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Delamination and cracking at Cu/polyimide (PI) interfaces under repeated deformation are major challenges to long-term reliability in flexible electronics. To identify thickness-dependent optimal interfacial treatments for Cu films on PI,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plasma surface modification and a Cr adhesion layer. Nano-scratch and cyclic bending tests were conducted on 100–500 nm Cu films, revealing a pronounced dependence of treatment efficacy on film thickness. At 100 nm, plasma treatment yielded the highest adhesion strength (5.56 ± 0.545 mN), whereas at 500 nm the Cr adhesion layer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11.66 ± 0.949 mN). Under cyclic bending (1.5% tensile strain, 30,000 cycles), all specimens showed increased electrical resistance, but clear thickness-dependent differences emerged: in thin films, plasma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for suppressing crack initiation and maintaining electrical stability, while in thick films the Cr layer provided superior fatigue resistan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bservations confirmed that crack patterns varied with film thickness and interfacial treatment. Under a fixed applied strain, increasing thickness elevates the crack driving force (energy release rate, G), which diminishes the relative benefit of interfacial toughness gained by plasma modification; by contrast, the Cr layer induces constraint and crackpath deflection, favoring crack-propagation retardation in thicker films. These findings offer design guidelines for selecting thickness-specific interfacial treatments in flexible interconnects and provide a basis for structural strategies to enhance reliability.
목차
1. 서 론
2. 실험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 하프늄 산화물 게이트 유전막이 MoS2 FET 성능에 미치는 영향
- 갈륨 입자의 분산 및 상변화에 관한 연구
- 전류밀도 분포 분석을 통한 배선 레이아웃 단순화 및 집적도 향상 기법
- 반도체 특성 인자에 대한 데이터 기반 해석 기법을 이용한 분석연구
- 인공지능 기반 Ag 소결층 기공구조와 유효 열전도도의 상관관계 분석
- MXene 입자가 첨가된 Sn-58Bi 나노 복합 솔더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접합 처리 조건에 따른 SiCN-SiCN 본딩 특성
- 정밀 본딩을 위한 플렉셔 기반 본더 헤드 설계 및 FEM 해석을 이용한 성능 평가
- 블롭 분석 기반 마이크로 핀 정밀 계측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AI 기반 역설계 모델을 활용한 유기 RDL 인터포저의 특성 임피던스 최적화 연구
- SiC 기반 멀티칩 파워 모듈의 기생인덕턴스 저감 및 균일화 설계 방법
- LLM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반도체 불량 검출 공정의 AI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펄스 도금이 철-니켈 합금층 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인바 필름 제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