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emiconductor Device Parameters Using Data-Driven Interpretive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선태민(Tae Min Sun) 오승환(Seung Hwan Oh) 홍슬기(Seul Ki Hong)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2권 제3호, 52~55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반도체 소자의 성능은 다양한 물리적 인자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문턱전압 (threshold voltage, Vt)과 구동전류 (on-current, ID)는 회로 설계와 동작에 있어 핵심적인 특성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소자 연구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산화막 두께, 게이트 금속의 일함수, 도핑 농도, 유효 채널 폭 등 다양한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특정 특성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XGBoost (eXtreme Gradient Boosting)와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기법을 이용하여 소자 특성에 영향을미치는 인자들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게이트 금속 일함수(metal work function, MWF)와 채널 폭이 Vt와 ID 제어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요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통해 소자 설계 시 유효한 인자 식별과 최적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반도체 설계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erformance of semiconductor devices is determined by the complex interplay of multiple physical parameters. Among them, the threshold voltage (Vt) and on-current (ID) are the most critical characteristics for circuit design and operation. However, independent control of these properties is difficult because device parameters such as oxide thickness, gate-metal work function, doping concentration, and effective channel width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is study, we applied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and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SHAP)-based data engineering technique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parameter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gate-metal work function (MWF) serves as the most effective knob for controlling Vt, while the channel width dominantly influences ID. This work demonstrates how machine-learning–assisted interpretable analysis can identify the most effective design knobs, thereby providing a pathway for efficient optimization in semiconductor device engineering.
목차
1. 서 론
2. 실험 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 하프늄 산화물 게이트 유전막이 MoS2 FET 성능에 미치는 영향
- 갈륨 입자의 분산 및 상변화에 관한 연구
- 전류밀도 분포 분석을 통한 배선 레이아웃 단순화 및 집적도 향상 기법
- 반도체 특성 인자에 대한 데이터 기반 해석 기법을 이용한 분석연구
- 인공지능 기반 Ag 소결층 기공구조와 유효 열전도도의 상관관계 분석
- MXene 입자가 첨가된 Sn-58Bi 나노 복합 솔더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접합 처리 조건에 따른 SiCN-SiCN 본딩 특성
- 정밀 본딩을 위한 플렉셔 기반 본더 헤드 설계 및 FEM 해석을 이용한 성능 평가
- 블롭 분석 기반 마이크로 핀 정밀 계측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AI 기반 역설계 모델을 활용한 유기 RDL 인터포저의 특성 임피던스 최적화 연구
- SiC 기반 멀티칩 파워 모듈의 기생인덕턴스 저감 및 균일화 설계 방법
- LLM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반도체 불량 검출 공정의 AI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펄스 도금이 철-니켈 합금층 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인바 필름 제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