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I-Based Inverse Design Model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Optimization of Organic RDL Interposers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조민선(Minsun Cho) 이태헌(Taeheon Lee) 유지호(Jiho Yu) 정성엽(Sungyeop Jung)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2권 제3호, 100~10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기 재배선층 인터포저의 고속·고집적 패키징에서 신호 무결성 확보를 위해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매칭이 필수적이다. 기존 해석적 모델은 전송 선로의 물리적 구조 단순화 가정으로 실제 제작된 형상을 반영하기 어렵다. 한편, 2D 전자기장 해석기는 구조 편집기와 통합되어에치 구조 반영이 용이하고 전송선로의 RGLC 모델 변환으로 회로 및 시스템 수준 설계 확장성이 높으나 목표 임피던스를 충족하는 전송선로 구조 결정에 필요한 시간 소요가 여전히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다리꼴 단면 및 다층 구조를 포함한 실제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AI 역설계 모델 통해 임피던스를 충족시키는 설계 방법론을 제안한다. 학습 모델 구축 이전,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여 영역의 분포와 특성을 규명하고, 민감도 및 특이도 분석을 통해 데이터 라벨링 결과 및 특징 추출 결과를 반영된 모델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모델의 검증 단계에서도 데이터 약화 실험 및 전통적인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확보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인터포저 설계 자동화 및 최적화의 핵심 기술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nsure the signal integrity of organic redistribution layer interposers for high-speed and high-density packag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atching of transmission lines is an essential task. Conventional analytical models are constrained by structural simplification of the transmission lines and cannot fully reflect actual fabricated structure. On the other hand, a 2D field-solver with structure editor could consider the etch shape and be extended to circuit or system level simulation by transforming the transmission lines into RGLC model. However, determining the parameters that ensure impedance matching still requires significant time and effor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an AI-based inverse design model supported by a dataset considering trapezoidal cross-sections and multilayer structures that represent realistic process characteristics. Prior to model training, data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impedancematched regions, and sensitivity-specificity evaluation was used to validate labeling and feature extraction, enabling reliable model construction. In the validation stage, the performance was assessed by data weakening experiments and comparison to traditional methods to ensure the robustness and accuracy. The proposed framework could serve as a key technology for interposer design automation and optimization.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 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 하프늄 산화물 게이트 유전막이 MoS2 FET 성능에 미치는 영향
- 갈륨 입자의 분산 및 상변화에 관한 연구
- 전류밀도 분포 분석을 통한 배선 레이아웃 단순화 및 집적도 향상 기법
- 반도체 특성 인자에 대한 데이터 기반 해석 기법을 이용한 분석연구
- 인공지능 기반 Ag 소결층 기공구조와 유효 열전도도의 상관관계 분석
- MXene 입자가 첨가된 Sn-58Bi 나노 복합 솔더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접합 처리 조건에 따른 SiCN-SiCN 본딩 특성
- 정밀 본딩을 위한 플렉셔 기반 본더 헤드 설계 및 FEM 해석을 이용한 성능 평가
- 블롭 분석 기반 마이크로 핀 정밀 계측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AI 기반 역설계 모델을 활용한 유기 RDL 인터포저의 특성 임피던스 최적화 연구
- SiC 기반 멀티칩 파워 모듈의 기생인덕턴스 저감 및 균일화 설계 방법
- LLM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반도체 불량 검출 공정의 AI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펄스 도금이 철-니켈 합금층 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인바 필름 제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용 열전도성 복합재의 계면 열저항 저감 전략
- 전력반도체 패키지의 성형 불량에 대한 개선과 신뢰성에 대한 연구
- 유연 기판-금속 박막 시스템의 계면 접착 특성에 따른 피로 신뢰성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