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ecarious Labor in China’s Grid Governance: Public Perceptions and Implications for Regime Sustainability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저자명
- 신선영(Sunyoung Shin) 김종철(Jongchul Kim)
- 간행물 정보
- 『아태연구』제32권 제3호, 37~7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의 그리드 거버넌스는 제로 코로나 이후 전국적으로 급속히 확대되어사회 안정 유지와 기층 서비스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드 거버넌스는 저임금의 불안정한 노동자인 그리드원(网格员)이 없이는 유지될 수없다. 본 연구는 즈후(知乎), 웨이보(微博), 바이두티에바(百度贴吧)에서 수집한 약 3,500개의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LDA 토픽모델링과 딥러닝 기반 감성분석으로 분석하여, 중국 대중이 이러한 구조적 모순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확인된 4개의 주제 모두에서 부정적 감성이 지배적이었으며, 특히 ‘직무환경과 보상’이 -0.80으로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본 연구는 Scott(1990)의 ‘숨겨진 대본’ 개념을 적용하여, 중국 네티즌들이 직접적인 비판 대신 노동 조건 비판을 통해 국가의 ‘안정’ 담론과 ‘불안정한’ 실행 수단 간의 모순을 우회적으로 표현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이러한노동 조건의 모순이 국가의 안정 담론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키고, 성과 정당성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China’s grid governance has rapidly expanded nationwide since the zero-COVID era, aiming to maintain social stability and strengthen grassroots services. Yet the system depends on grid workers (网格员), who are low-wage and precariously employed laborers. This study analyzes how Chinese citizens perceive this contradiction using LDA topic modeling and deep-learning sentiment analysis of approximately 3,500 social media posts collected from Zhihu (知乎), Weibo (微博), and Baidu Tieba (百度贴吧). The results show predominantly negative sentiment, with “Job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the most negative (–0.80). Drawing on Scott’s (1990) notion of “hidden transcripts,” we argue that netizens indirectly criticize the gapbetween the state’s discourse of stability and the unstable means of its implementation, often through complaints about labor conditions rather than overt dissent. These contradictions may weaken confidence in the state’s stability narrative and raise questions about the long-term viability of performance-based legitimac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Data and Methodology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Ⅶ.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