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érimentation littéraire à l’ère numérique: la narration réticulaire et l’édition participative dansUn roman du réseau de Véronique Taquin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이윤수(Yunsoo LE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6집, 75~11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베로니크 타켕의 『네트워크 소설』을 중심으로, 디지털 환경에서 문학이 서사 구조, 정체성 구성, 독자 수용 방식에 있어 수행하는 형식적 실험을 분석한다. 작품은 가상의 웹 플랫폼 ‘오즈’를 무대로, 인물들이 서로의 삶을 쓰고 읽으며 관계적으로 정체성을 구성하는 ‘그물망 소설’ 양식을 구현한다. ‘가명’ 기반의 주체 구성, 편집과 응답의 반복에 따른 정체성의 유예, 이미지·음악·시나리오 등 다매체적 구조는 자아를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감응 속에서 구성되는 존재로 재현한다.
또한 인터넷 저널 ‘메디아파르트’ 연재 과정에서 독자들은 댓글, 이미지, 2차 창작 등으로 텍스트에 개입하여 ‘참여형ㆍ해석형 출판’을 실현한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소설』은 일반 인터넷 소설이 작가 중심으로 서사 완결을 지향하는 것과 달리, 인물이 저자ㆍ편집자ㆍ독자의 위치를 넘나드는 메타적 구조 속에서 공동 창작을 실험한다. 오즈 플랫폼의 서사와 메디아파르트 독자 참여는 이중의 미장아빔을 형성하며, 창작과 해석, 생산과 수용의 위계를 해체하고 열린 서사의 윤리를 구현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이 전통적 장르의 유산과 디지털 서사의 논리를 접속해 새로운 문학적 실험을 구현한 사례임을 밝힌다. 나아가 『네트워크 소설』은 디지털 기술, 서사 실험, 문학사 전통, 인터넷 문화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플랫폼 문학의 확장 가능성과 공동 해석의 작동 방식을 제시하며, 동시대 문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analyse Un roman du réseau de Véronique Taquin afin d’examiner comment, dans un environnement numérique, la littérature met en œuvre de nouvelles expérimentations formelles dans la structure narrative, la construction identitaire et les modes de réception. L’œuvre met en scène une plateforme web fictive, « Odds », où les personnages écrivent et lisent la vie des autres, réalisant ainsi une forme de « roman réticulaire » fondée sur la construction relationnelle des identités. Le récit explore notamment la formation du sujet à partir de pseudonymes, la suspension de l’identité par un processus répétitif d’édition et de réponse, ainsi qu’une structure multimédiatique intégrant images, musique et scénarios, où le moi n’apparaît plus comme une entité stable mais comme une présence construite et manipulée dans l’interaction.
Par sa publication en feuilleton sur la plateforme du journal en ligne Mediapart, le roman instaure une dynamique d’édition participative’ et d’édition interprétative’: les lecteurs y interviennent concrètement par des commentaires, des images ou des créations dérivées. La structure dans laquelle les personnages internes écrivent et éditent les récits des autres se juxtapose en miroir à la participation des lecteurs externes, déconstruisant ainsi la hiérarchie entre production et réception, création et interprétation, et ouvrant la voie à une éthique du récit participatif.
L’analyse met en évidence qu’Un roman du réseau hérite des traditions génériques du roman épistolaire du XVIIIᵉ siècle et du roman-feuilleton du XIXᵉ, tout en les réinventant dans les conditions propres à la narration numérique. Cette œuvre, située à l’intersection des technologies numériques, de l’expérimentation narrative et des héritages littéraires, constitue un exemple significatif du potentiel d’expansion de la littérature de plateforme et du fonctionnement de l’interprétation collective.
목차
1. 들어가며
2. 『네트워크 소설』의 내용과 주요 개념 및 서사의 역사성
3. 플랫폼 서사와 해석 공동체: 열린 텍스트의 실현
4.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