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Étude sur le statut du sujet dans les systèmes sémiologiques: autour des théories de Benveniste et de Baudrillard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김휘택(Hui-Teak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6집, 43~7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에밀 벤브니스트와 장 보드리야르의 이론을 통해 기호 체계 안에서 주체의 위상이 구성되고 소멸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벤브니스트는 주체가 언어행위 이전에 존재하는 실체가 아니라, ‘나’라고 말하는 발화행위를 통해 구성된다고 보았다. 그에게 ‘나’는 고정된 실체를 가리키는 기호가 아닌, 발화의 순간에만 채워지는 ‘비어 있는 기표’이자 언어 체계가 마련한 형식적 ‘위치’이다. 또한 주체는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나’와 ‘너’의 상호 대화 관계 속에서만 성립하는 상호주관적 존재로 규정된다.
반면 보드리야르는 기호가 실재를 대체하고 원본 없는 이미지가 무한 증식하는 ‘시뮬라시옹’의 세계를 진단한다. 그는 기호가 실재를 모방하던 ‘위조’의 단계와 기술 복제로 원본의 가치가 사라지는 ‘생산’의 단계를 지나, 마침내 미디어를 통해 실재와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한 시뮬라시옹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분석한다. 이 하이퍼 실재 속에서 ‘의미의 내파’가 일어나며, 벤브니스트가 말한 주체 생성의 조건인 발화행위의 사건성 자체가 무력화된다. 주체는 그 출현이 구조적으로 차단된 ‘부재’의 상태에 놓이며, 이에 맞서 의미를 거부하는 ‘침묵’이나 체제의 논리를 극단적으로 모방하는 ‘과잉 순응’을 저항 방식으로 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두 이론의 연속성 또한 보여주고자 한다. 벤브니스트가 제시한 ‘비어 있는 주체’의 개념은, 기호 체계가 붕괴할 때 보드리야르가 말한 ‘소멸하는 주체’로 이어지는 필연적 실마리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analyser la constitution et la dissolution du sujet au sein des systèmes sémiologiques, en examinant les théories d’Émile Benveniste et de Jean Baudrillard. Benveniste soutient que le sujet n’est pas une entité préexistante, mais qu’il est constitué par l’acte d’énonciation. Il analyse le pronom « je » comme un « signifiant vide » qui établit le sujet comme une « position » formelle au sein du langage, remplie uniquement au moment du discours. Cette subjectivité, fondamentalement intersubjective, est cependant fragile et dépendante du système linguistique, contenant ainsi les germes de sa propre dissolution.
En revanche, Baudrillard diagnostique la dissolution du sujet dans un monde de « simulation », où les signes ne renvoient plus à la réalité mais génèrent une « hyperréalité ». Il retrace cette évolution à travers trois ordres de simulacres. Dans le stade actuel, la surproduction de signes conduit à une « implosion du sens », bloquant structurellement l’émergence du sujet. Dans ce système, la résistance prend la forme d’un « refus du sens » stratégique ou d’une simulation hyperconformiste.
L’article conclut que les deux théories ne sont pas contradictoires mais profondément liées. Le concept benvenistien du « sujet vide » fournit le fondement théorique de la dissolution du sujet, telle que décrite par Baudrillard lorsque le système sémiologique s’effondre dans l’autoréférentialité. Finalement, l’étude s’interroge sur la question de savoir si une déclaration authentique de « je parle » reste possible à notre ère numérique, ce qui nous invite à réexaminer la définition même de l’être humain.
목차
1. 서론
2. 벤브니스트의 발화행위와 주체
3. 주체의 부재와 시뮬라시옹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