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애정신’이란 무엇인가

이용수  0

영문명
What is the Seo-ae Spirit?
발행기관
서애학회
저자명
송복(Bok Song)
간행물 정보
『서애연구』제1권, 5~4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주제 ‘서애정신’은 西厓라는 인물의 ‘정신’을 추구해서 이론적으로정립해 보려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 정신을 가능한 후대의 정신적모형으로 상징화해보려는 데 부수적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서애정신’은 3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징비(懲毖)이고, 하나는 진정(眞情)이고, 또 하나는 자강(自强)이다. 징비의 첫째 의미는 자기비판, 자기책임으로서의 자기주체화이고, 또 다른 의미는 시관(time-perspective)으로서의 미래지향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징비는 ‘서애정신’의 라벨(label)이다. 둘째로 진정은 이념·가치와 분리되어 공사(公事, public affairs)를 처리한다는 것과 정파와 당파를 초월해서 자기 입장(position)과 자기 지위(status)를 갖는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런 의미에서 진정은 중용이고 균형이고 그리고 협치의 기본이 된다. 셋째로 ‘서애정신’은 자강이다. 자강은 부국강병을 지향해서자립(自立)이며 독립(獨立)을 지키고 유지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임금에게 충성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에 충성해야 하는 것, 다시 말해 서약(誓約, oath)에 의한 충성(royalty)이 아니라 계약(契約, contract)에 의한 충성(loyalty)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보론(subsidiary)으로 화랑정신과 충무공정신, 그리고 로마정신을함께 설명했다. 그리고 이 정신들이 각기 서애정신과 어떤 유사성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정신들이 그 시대에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설명함으로써 서애정신을 오늘날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고, 다음 세대 사람들에게 정신적, 도덕적 귀감이며 지주가 될 수 있도록 하려 한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ursue the spirit of the historical figure Seo-ae Ryu Seong-ryong (1542-1607) and establish his thought as a political theory. The secondary purpose is to symbolize his spirit into an ideal-type for our times. In this article, the Seo-ae spirit consists of three things: jingbi 懲毖 (lit. to look into the past mistakes in order to guard against later calamities), jinjeong 眞情 (lit. true conditions), and jagang 自强, self-strengthening. First of all, jingbi primarily means self-criticism, self-responsibility, and self-subjectivity, and also means the future-orientedness in terms of time perspective. In this sense, jingbi is the hallmark of the Seo-ae spirit. Secondly, jinjeong, literally translated as true conditions, implies that one ought to manage public affairs beyond his/her personal ideas or values as well as to maintain one’s position and status by overcoming his/her factional interests. In this light, jinjeong means the doctrine of the mean, balance, and the basis of governance. Thirdly, the Seo-ae spirit is self-strengthening. Self-strengthening is to stand alone, to maintain independence by making the state wealthy and the military strong. For such purposes, the ministers ought not to be loyal to the king but to the state; in other words, it implies allegiance not by oath but by contract. On a subsidiary note,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Hwarang spirit, the Chungmugong spirit, and the Roman spirit. By shedding light on the Seo-ae spirit in comparive perspective, this article aims to find in the Seo-ae spirit the moral paragon as well as the spiritual pillar not only for us living in the present times but also for later generations.

목차

Ⅰ. ‘서애정신’이란
Ⅱ. 징비(懲毖)
Ⅲ. 진정(眞情)
Ⅳ. 자강(自强)
Ⅴ. 보론(補論)
Ⅵ. 맺음말: 서애정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복(Bok Song). (2020).‘서애정신’이란 무엇인가. 서애연구, (), 5-41

MLA

송복(Bok Song). "‘서애정신’이란 무엇인가." 서애연구, (2020): 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