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yu Seong-ryong’s Ethics of Conviction and Ethics of Responsibility
- 발행기관
- 서애학회
- 저자명
- 최연식(Yeon Sik Choi)
- 간행물 정보
- 『서애연구』제1권, 43~87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정치가 류성룡의 정치적 소명의식과 리더십을 도덕과 정치의 균형, 또는 신념윤리와 책임윤리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이다. 이 점을 밝히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먼저 유학의 두 중심인 수기(도덕)와치인(정치)의 문제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류성룡 리더십의 개념적 전제로 막스베버의 신념윤리와 책임윤리의 문제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류성룡의 리더십에 나타난 신념윤리적 요소와 책임윤리적 요소를 그의 국가관(대의에 대한 헌신), 정책 추진의 기본 원칙(시의성, 융통성, 순차성, 일관성)과 인사 정책(剛明 果斷과 奉公忘私의 料人) 등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한다.
류성룡은 전란 중에도 민심을 폭넓게 청취하는 것을 중시했다. 그리고 여론의 청취뿐만 아니라 바른 여론을 가려내는 것도 중시했다. 류성룡이 전란 중에인심을 청취하고 바른 여론을 가려내려고 했던 목적은 세 가지였다. 첫째는 안보 확립이었고, 둘째는 경제 복구였고, 셋째는 공동체의 도덕성 회복이었다. 공자의 주장처럼 류성룡도 현실에서 민심을 획득하는 우선순위는 경제가 첫째이고 안보는 둘째였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서 경제와 안보보다 우선하는 것은 신뢰의 문제였다.
류성룡은 병비(兵備)가 소홀해 온 나라가 전란에 휩쓸렸고, 그로 인해 국가경제가 파탄 났지만, 과거를 거울삼아 잘못을 바로잡고 백성들의 국가에 대한신뢰를 회복시키고자 했다. 그것이 그가 시경에서 ‘징비(懲毖)’의 경계를 채택해 징비록을 쓴 목적이었다. 류성룡은 단순히 과거를 징계(懲戒)하는 것으로미래의 환란을 대비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과거의 교훈을 창조적으로해석하고 활용해야 미래를 위한 준비가 제대로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그는 징창(懲創)이라는 용어로 징비의 미래지향적 의미를 담아내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examine the statesman Ryu Seong-ryong’s political calling and leadership in terms of the balance between the moral and the political, or the balance between ethics of conviction and ethics of responsibility. To clarify this point,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problems of morality and politics, the two central themes of Confucianism. Secondly, as a conceptual premise of Ryu’s leadership, this article will examine Max Weber’s concepts of conviction ethics and responsibility ethics. Lastly, I will review ethical elements in Ryu’s leadership, focusing on three points: his national view, the basic principles of his policy promotion, and his personnel policy.
During the Imjin war (1592-1598), Ryu Seong-ryong emphasized the wide collection of public opinion. In addition, he emphasized not only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diverse public opinions, but also that of discerning the right opinions from the wrong. The reasons why Ryu emphasized listening to public opinion and discerning the right public opinion could be threefold: to establish security, to restore the economy, and to rehabilitate communal morality. Like Confucius, Ryu prioritized the economy over security for the purpose of gaining public sentiment in real politics. However, Ryu considered that the economy and security were basically the matters of trust.
Although the Imjin war destroyed the national economy, Ryu sought to draw upon the past mistakes to remedy the problems of government and to restore the people’s trust in the state. Such were the purposes for which Ryu authored the Jingbirok. As is well known, the title comes from the “jingbi (懲毖)” chapter of the Book of Odes. Ryu thought that to learn lessons from the past could not be sufficient to prevent repeating the same mistakes in the future. He suggests further that the lessons of the past should be interpreted in a creative wa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For this reason, he alludes to the future-oriented meanings of jingbi, as exemplified in the term, jingchang (懲創), “to guard against and to create.”
목차
Ⅰ. 서론
Ⅱ. 유학의 두 중심: 수기(修己)와 치인(治人)
Ⅲ. 신념윤리와 책임윤리
Ⅳ. 신념윤리와 책임윤리의 관점에서 본 류성룡의 리더십
Ⅴ. 결론: 신뢰와 징창(懲創)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