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Seoul Citizen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계량경제학회
- 저자명
- 김윤미(Yunmi Kim) 김태환(Tae-Hwan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Vol.36 No.3, 35~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22 년의 횡단면자료를 사용하여 소득,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등의 요인들이 서울시민의 정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소득의 한계효과는 거의 대부분의 소득구간에서 큰 변화가 없다가 최상층의 소득구간에서 급격하게 보수확률이 증가하고, 중도와 진보확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연령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것과 같이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보수화 될 확률이 증가하고 진보화 될 확률이 낮아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교육의 영향은 단선적이지 않은데, 대학교를 졸업하게 되면 진보확률이 증가하고 보수확률은 감소한다. 반면에, 대학원을 마치고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게 되면 진보·보수확률이 동반상승하고, 중도확률은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여성은 남성보다 진보적일 확률이 높을 뿐 아니라, 소득의 한계효과, 연령의 한계효과 그리고 교육의 한계효과에서도 남성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influence of factors such as income, age, gender, education level, and residential area on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Seoul citizen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marginal effect of income shows that there is little change across most income brackets, but the probability of being conservative increases sharply in the highest income bracket, while the probabilities of being moderate and liberal decrease. The effect of age indicates that, as expected, the probability of becoming conservative increases and the probability of becoming liberal decreases as age increases. The impact of education is not linear; graduating from colleg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liberal and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conservative. However, obtaining a graduate degree, such as a master's or doctorate, results in an increase in both liberal and conservative probabilities, while the probability of being moderate decreases. It was also found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be liberal than men and show very different patterns in the marginal effects of income, age, and education compared to men.
목차
1. 서론
2. 자료의 설명
3.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
4. 실증 분석 결과
5. 소득과 교육수준의 범주 구분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6. 성별에 따른 정치성향 차이 분석
7.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