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 Technology Based Weight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dy Image, and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선영(Sunyoung Kang) 안해님(Haenim Ahn) 이영선(Youngsun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2호, 303~3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지적장애인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지적장애 성인의 신체조성, 신체 이미지 및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비만 진단 기준을 충족하며 스스로 체중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지적장애 성인 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테크놀로지 활용 체중관리 프로그램은 총 14회기로 체중관리 관련 지식과 습득,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학습, 메타버스를 활용한 실천 중심의 활동을 포함하였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중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과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세 가지 종속변인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신체 이미지와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다중요소를 결합한 종합적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지적장애인의 심리정서적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테크놀로지의 활용 및 동료와의 협력적 관계를 기반으로 지적장애인의 자율적인 체중 조절 동기를 증진하였으며, 성인기의 지적장애인을 위한 건강관리 지원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technology-based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amined its effects on body composition, body image, and health-management self-efficacy. Fiv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met obesity criteria and recognized the need for weight contr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14-session program combined instruction in weight-management knowledge and skills, training in the use of health-related technologies, and practice-oriented activities delivered through a metaverse platform. A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and paired-sample t-test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s.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owever, body image and health-management self-efficacy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 to posttest. This study implemented a comprehensive weight management program that integrated multiple components, examining changes in the psychosocial factor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utilizing technology and fostering collaborative peer relationships, the program enhanced participants’ autonomous motivation for weight control.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tailored health-management support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pose concrete strategies to address this necess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2호 목차
- 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수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체계적 분석
- 테크놀로지 활용 지적장애인 체중관리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신체 이미지 및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고찰
-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초등학생 대상 자기조절 전략 기반 중재 효과: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수행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 자기이해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의 역할에 대한 인식 탐색: 현장 중심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 특수학교 교사의 민감성과 교사효능감이 수업실행에 미치는 구조 관계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학교 SW-PBIS 실행 현황과 지원요구의 우선순위 분석
-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특수교육대상 유아 어머니의 장애 수용 과정 경험과 감정의 서정적 탐색
참고문헌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재활복지
- 발달장애연구
- 한국체육학회지
-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 한국스포츠학회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한국통신학회지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특수교육논총
- 한국융합과학회지
- 특수교육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특수교육학연구
- 특수교육
- 열린교육연구
- 스트레스硏究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한국스포츠학회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지적장애연구
- 특수교육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한국초등교육
- Australasi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Obesity reviews
-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 American Journal of Translational Research
- The Malaysi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merican journal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Nutrition Journal
-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