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SW-PBIS Implementation and Support Needs Priorities in Speci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주교영(Kyoyoung Joo) 박경옥(Kyoung Ock Par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2호, 245~2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급)에서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SW-PBIS) 실행 현황을 진단하고, 특수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우선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기평가조사(Korean version of the Self-Assessment Survey; K-SAS)를 활용하여 SW-PBIS 실행의 필요도와 실행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을 통해 두 변수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Borich 요구도 분석과 Locus for Focus(LF) 모델을 적용하여 우선 지원 영역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전반적으로 SW-PBIS의 각 영역에 대해 높은 필요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실행 체계와 운영 구조 강화를 위한 ‘팀 구성’, ‘역할 분담’, ‘평가 체계 구축’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행동 기록’, ‘피드백 순환 구조’ 등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의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연수’, ‘실행 역량 강화’, ‘중재 충실도 관리’와 같은 전문성 개발 체계에 대한 요구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급)에서 SW-PBIS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교사 중심의 진단 기반 지원 체계 마련과 함께 실행 충실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SW-PBI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as well as identify priority support area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total of 1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Assessment Survey (K-SAS) was used to measure both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implementation of SW-PBI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s priority areas were derived us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LF)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high levels of importance for each domain of SW-PBIS, the actual implementa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Notably, strong needs were identified in areas related to strengthening implementation systems and operational structures, such as “team formation,” “role allocation,” and “establishing evaluation systems.” Furthermore, the need for developing a data-driven decision-making system specifically through “behavior documentation” and “feedback loops” was also emphasized. High levels of need were similarly found in areas related to professional capacity building including “teacher training,” “implementation competency enhancement,” and “fidelity man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teacher-centered, diagnostic-based support system and enhancing implementation fidelity to ensure the effective execution of SW-PBI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2호 목차
- 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수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체계적 분석
- 테크놀로지 활용 지적장애인 체중관리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신체 이미지 및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고찰
-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초등학생 대상 자기조절 전략 기반 중재 효과: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수행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 자기이해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의 역할에 대한 인식 탐색: 현장 중심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 특수학교 교사의 민감성과 교사효능감이 수업실행에 미치는 구조 관계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학교 SW-PBIS 실행 현황과 지원요구의 우선순위 분석
-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특수교육대상 유아 어머니의 장애 수용 과정 경험과 감정의 서정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