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내기업가정신 실현수단이 기업가지향성 구축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전략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oderating Effect of Firm’s Strategy Mode
발행기관
기업가정신학회
저자명
우정헌(Jeoungheon Woo) 이상명(Sangmyung Lee)
간행물 정보
『기업가정신연구』제6권 제2호, 295~3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랜 업역을 가진 기업도 변화와 혁신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업역이 오래된 기업이 쌓아온 전통과역사는 오히려 변화와 혁신을 제어하기도 한다. 기업들이 기존의 사업과 성공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전을 추구하고자 사내기업가정신을 강조하는 이유이다. 보통 사내기업가정신이라고 하면 사내벤처나 신사업 등으로 단편적으로 이해되기도 하나, 기업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실현시켜 나가기 위한 축적된 의지나 실행력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벤처, 협력, 전략적 개혁 등 사내기업가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거론되는 여러 활동들이 실제 기업 내의기업가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또 다른 점은 사내기업가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거론되는 벤처, 협력, 전략적개혁 등 실현 수단들이 작동하는 방식과 기업가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제각기 다르다는 점이다. 이는 경영자들이 제한된 경영자원을 고려해 어떤 실현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인지 판단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제 기업이 택하고 있는 전략모드를 고려해 사내기업가정신 실현 수단을 선택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기업의 전략모드는 내부 구성원들에게 의사결정과 실행의 기준으로 작동하면서 특정 행동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각각의 사내기업가정신 실현수단들이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전략모드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사내기업가정신 실현수단들을 선택하는 데에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기업혁신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벤처링이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관계는 기업의 전략모드가 탐색모드이거나 활용모드일 때 긍정적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D협력이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이 활용적 전략모드를 택할 때 긍정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전략적 개혁이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전략이 탐색-활용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Even companies with long history require change and innovation. However, the traditions and history accumulated by such companies can sometimes hinder change and innovation. This is why companies emphasize corporate entrepreneurship—to break away from existing businesses and familiar ways and pursue new challenges. Especially in large and old corporations, pursu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is more meaningful in terms of enhanc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an in achieving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entrepreneurship is often narrowly understood as internal ventures or new business initiatives, but it should be viewed as inherent spirit or capability that enables a company to continuously capture and realize new opportun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effect of various activities for realiz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such as internal ventures, R&D collaborations,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s—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ithin companies. Another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activities for realiz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operate differently and influe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rough distinct pathways. This implies that managers need to select activities that are most effective for their company by considering limited managerial resources.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activities of realiz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should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actual strategy mode adopted by the firm. Because a firm's strategy mode functions as a benchmark for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among internal members, thereby reinforcing or weakening specific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rporate strategy mo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im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who need to select activities for accumulat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their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 used the data from the survey of 2021 Corporate Innovation Survey condu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of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venturing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positively moderated by the firm's strategy mode either exploration or exploitation. The impact of R&D collaboration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how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when the firm adopts an exploitative strategy mode. Finally, the effect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xhibits a moderating effect when the firm adopts an explorative strategy mod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
Ⅴ. 토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정헌(Jeoungheon Woo),이상명(Sangmyung Lee). (2025).사내기업가정신 실현수단이 기업가지향성 구축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전략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가정신연구, 6 (2), 295-321

MLA

우정헌(Jeoungheon Woo),이상명(Sangmyung Lee). "사내기업가정신 실현수단이 기업가지향성 구축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전략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가정신연구, 6.2(2025): 295-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