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액셀러레이터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방향

이용수  0

영문명
Mapping Accelerator Research of Korea: A Tripartite Framework of Definition, Function, and Strategic
발행기관
기업가정신학회
저자명
김예레(Yeare Kim) 김병조(Byoungjo Kim) 홍기석(Kisuk Hong)
간행물 정보
『기업가정신연구』제6권 제2호, 137~17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급격한 기술 발전과 함께 혁신을 주도하는 스타트업이 주요 경제 주체로 부상함에 따라, 이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터가 창업 생태계의 핵심 행위자로 주목받고 있다. 액셀러레이터는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자금과 멘토링 등 다양한 유·무형 자원을 제공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수행한다. 그러나 액셀러레이터를 주제로 한 연구가 꾸준히 축적되고 있음에도, 이를 종합적으로정리·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액셀러레이터와 스타트업 간의 관계, 그리고 창업 생태계에서의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을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보다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액셀러레이터 관련 국내 선행 연구 44편을 선별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의적, 기능적, 전략적, 세 가지 측면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국내 문헌을 심층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액셀러레이터는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조직적 메커니즘이라는 핵심 개념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도, 그 역할이 지식 중개, 신뢰 및 인증 효과, 생태계구축 등 다차원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 더불어 액셀러레이터의 작동 원리를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입안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액셀러레이터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positioned startups as pivotal economic actors, underscoring the critical role of accelerators withi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Accelerators foster early-stage growth by provid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resources, including capital, mentoring, and network access. Despite increasing scholarly attention, systematic syntheses of accelerator research remain limited.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44 Korean academic articles on accelerators published up to 2024. Guided by a three aspects framework—definitional, functional, and strategic—it examines the questions: What are accelerators? Why are they necessary? How should they operat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accelerators consistently function as mechanisms to expedite startup growth, their scope has expanded to encompass knowledge brokering, trust certification, and ecosystem orchestration. By visualizing these operational mechanisms, the study o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chola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thereby advancing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accelerators’ strategic roles in Korea’s entrepreneurial eco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액셀러레이터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향후 연구 방향 제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레(Yeare Kim),김병조(Byoungjo Kim),홍기석(Kisuk Hong). (2025).국내 액셀러레이터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방향. 기업가정신연구, 6 (2), 137-175

MLA

김예레(Yeare Kim),김병조(Byoungjo Kim),홍기석(Kisuk Hong). "국내 액셀러레이터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방향." 기업가정신연구, 6.2(2025): 137-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