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From Heritage Waste to Market Value: Glocal Cultural Entrepreneurship and Circular Innovation in Andong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기업가정신학회
저자명
구인혁(Inhyouk Koo) 하호정(Hojung Ha) 전미경(Mikyung Jeon)
간행물 정보
『기업가정신연구』제6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사례연구는 전통 증류주 공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부산물인 ‘술지게미’를 고부가가치 소비재로혁신한 국내 스타트업의 순환경제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실무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요 측면에서, 폐기되거나 저품질 사료로만 이용되던 문화적 부산물을 고단백·글루텐프리 기능성 간편식으로업사이클링하여 연간 약 70톤 규모의 폐기물을 프리미엄 제품으로 전환하였다. 초기 단계에서는안정적인 분말화를 위한 저온 건조·분쇄 공정과 영양학적 유효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이후 반복적프로토타이핑을 통해 맛과 식감을 최적화하였다. 최종 제품은 국내외 식품 안전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비건·업사이클링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기능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시장 가치를확보하였다. 공급 측면에서는 마스터 브루어, 식품과학 연구진, 지자체와의 다자간 협업 구조를 기반으로 원료의 안정성과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초기 생산은 OEM 전략을 채택하여 자본효율성을 높였으며, 유통 전략은 D2C 채널, 지역 축제, K-라이프스타일 구독박스, 소셜 미디어 캠페인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국내는 물론 아시아권 소비자와 연결되는 글로컬 기반을 구축하였다. 본 사례는 문화유산과 지속가능성을 실질적인 경쟁우위로 전환하는 소비자 연계 및 실행 중심의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창업자, 순환형 비즈니스를 도입하려는 실무자, 지역 기반 혁신을 설계하려는 정책 관계자에게 구체적이고 구조화된 시장확대 전략과실증적 방법론을 제공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한 이 모델은 ‘버려진 전통’을 ‘미래의 프리미엄’으로 전환하는 지역 문화 비즈니스 모델과 로컬 컨텐츠의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을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case study explores the journey of ‘The Eum,’ a pioneering Korean heritage-based startup dedicated to transforming traditional distilling byproducts into innovative, value-added consumer products. Confronted with the challenge of soju lees—a byproduct of a 700-year-old fermentation tradition often discarded as waste or repurposed as low-quality feed—the founders seized this as an opportunity for sustainable entrepreneurship. By upcycling approximately 70 tons of this nutrient-rich waste each year into high-protein, gluten-free energy bars, The Eum creates significant economic value from cultural byproducts with circular‑economy outcomes reported. This study adopts cultural entrepreneurship as the primary lens and treats glocalization as a boundary condition shaping market entry. It focuses on reframing the meaning of a heritage byproduct and engaging in market-making that legitimizes it as a premium product, while also presenting the outcomes related to circular economy practices. The Eum overcame product development challenges related to spoilage prevention and texture optimization while building a brand that combines cultural tradition with modern wellness trends. Strategic decisions on packaging, costs, distribution, and consumer engagement demonstrate creative solutions and adaptability in market entry. Therefore, this study shows how cultural entrepreneurship under glocalization constraints can convert a heritage byproduct into a legitimate premium offering. This case also illustrates the successful fusion of heritage and innov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Background
Ⅲ. Research Design
Ⅳ. Analysis and Results
Ⅴ. Implications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인혁(Inhyouk Koo),하호정(Hojung Ha),전미경(Mikyung Jeon). (2025).From Heritage Waste to Market Value: Glocal Cultural Entrepreneurship and Circular Innovation in Andong. 기업가정신연구, 6 (2), 1-26

MLA

구인혁(Inhyouk Koo),하호정(Hojung Ha),전미경(Mikyung Jeon). "From Heritage Waste to Market Value: Glocal Cultural Entrepreneurship and Circular Innovation in Andong." 기업가정신연구, 6.2(2025):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