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generational Accounting Analysis of Changes in Generational Benefits and Burdens in the Pension System: Focusing on the 2024 National Pension Reform Plan
- 발행기관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저자명
- 박연서(YounSeo Park) 조형태(Hyeongtae Cho)
- 간행물 정보
- 『재정학연구』제18권 제3호, 101~14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대간회계 방법론을 적용하여 현행 국민연금 제도에서 세대별 혜택, 부담 및 순혜택을 분석하였으며, 정부의 개혁안(2024.9월 발표)이 적용될 경우 세대별 순혜택의 변화와 더 나아가 재정안정화 방안을 적용할 경우의 세대별 순혜택의 변화까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제도가 유지될 경우, 세대별 전체 순혜택은 1990년대생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순혜택과 수익비는 출생연도가 최근(2000년대생)일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연금 재정 안정을 위해 재정부담 구조를 재설계함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정부의 개혁안이 적용될 경우, 출생연도가 최근일수록 순혜택의 감소폭이 커짐에 따라 현행제도와 달리 수익비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1인당 순혜택은 최근 출생한 세대(1980년대생에서 2000년대생)가 다소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개혁안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연금재정의 안정을 위해 자동조정장치, 추가 보험료율 인상 등의 재정안정화 방안을 도입하게 되면 최근 세대의 순혜택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국민연금의 재정안정화 방안이 도입되면, 미래세대는 더 높은 보험료를 부담하거나 연금수급액이 축소되어 연금제도로부터 얻는 혜택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세대별 혜택 및 부담의 추이 분석을 바탕으로 세대간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혁의 시점과 개혁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the generational accounting methodology to analyze the benefits, burdens, and net benefits of different generations under the current National Pension System.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s how these net benefits would change if the government's pension reform plan (announced in September 2024) were implemented, as well as the additional impact of fiscal stabilization measures.
The analysis finds that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total net benefits by generation are highest for those born in the 1990s. Additionally, per capita net benefits and benefit-to-contribution ratios increase for more recent birth cohorts, peaking for those born in the 2000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how additional fiscal burdens could be distributed among generations to delay the depletion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Under the government's proposed reform, the net benefit reduction is more significant for younger generations, leading to lower benefit-to-contribution ratios compared to the current system. However, per capita net benefits in monetary terms remain similar for those born in the 1980s to 2000s. Lastly, if further fiscal stabilization measures—such as automatic adjustment mechanisms and additional contribution rate increases—are introduced to ensure pension fund sustainability, the net benefits for younger generations would be reduced by more than half.
If the current system continues, younger generations will receive greater benefits from the National Pension System. Howev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fiscal stabilization measures to ensure the system’s long-term sustainability, the benefits for future generations will decline significantly. Therefore, based on this analysis of generational benefits and burdens, discussions must take place regarding the timing and methods of reform to ensure intergenerational equity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사회보장연구
- 사회복지정책
- 사회보장연구
-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국민연금공단 연구보고서
- 경제분석
- 연구보고서
- 보험금융연구
- 사회복지정책
- 재정학연구
- 재정학연구
- 재정학연구
-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응용통계 연구
- Tax Policy and the Economy
-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English Edition)
- Economía (Washington, D.C.)
-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Resources,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Office of Research and Statistics
-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Office of Policy, Office of Research, Evaluation, and Statistic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