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stitutionalization and Policy Reform for Real Estate Token Securities to Promote Small-scale Investment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권현진(Hyun Jin Kwo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3호, 89~10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자산 시대에 부동산 조각투자의 건전한 발전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9년 금융규제 샌드박스 도입 이후 국내 부동산 조각투자 시장은 2024년 말 기준 29개 상품, 누적 936억원 규모로 성장하였으나, 법적 안정성 부족과 제도적 공백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연구 결과, 부동산 조각투자는 개별 부동산 자산 선택권과 소액 투자 접근성 등에서 기존 간접투자상품과 차별화되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샌드박스라는 한시적 기반 위에 구축되어 법적 지위가 불안정하고 감정평가 체계, 유통시장 구조, 투자자 보호 장치 등에서 제도적 공백을 보이고 있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첫째, 플랫폼별 분절화로 인한 유동성 제약과 일대일 상대매매 방식의 한계, 둘째, 단일 임차인 의존도 64.7%와 평균 33.1억원 규모의 중소형 자산 편중으로 인한 리스크 집중, 셋째, 평균 배당수익률 4.1%로 리츠(5.2%) 대비 낮은 투자매력도, 넷째, 100% 자기자본 투자 제약과 플랫폼별 상이한 재평가 기준 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법적 기반 구축, 차입 제한 해제, 통합 유통 플랫폼을 제안하였고 투자자 권리 및 보호측면 개선방향으로 통일된 재평가 규정, 공시자료의 범위 및 주기적 공시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부동산 조각투자의 개념 및 유형
Ⅲ. 국내 부동산 조각투자의 현황 및 제도
Ⅳ. 부동산 조각투자 문제점 및 정책적 개선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