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ime-varying and Nonlinear Nature of Causality Between Cryptocurrency, Real Estate, and Stock Market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유정석(Jung Suk Yu)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3호, 7~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가상자산, 부동산, 주식시장 간 인과관계의 시간가변적·비선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특히 강남3구 부동산시장의 차별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자산 지표를 비트코인, 이더리움, 알트코인 시가총액(TOTAL2)으로 확장하고, 시간가변 모수 벡터자기회귀(TVP-VAR), Markov-Switching, 비선형 Granger 인과관계 검정 등 다양한 계량모형을 활용하여 국면전환과 구조적 변화에 따른 자산시장 간 연계성 변화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선형 모형에서는 포착되지 않았던 가상자산과 강남3구 부동산 간의 인과관계가 비선형 모형에서는 특정 시장 조건(고변동성 국면, 급격한 가격 변동 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인과관계의 방향과 강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둘째, 금리, 경기변동, 글로벌 금융 이벤트 등 외부 충격에 따라 자산시장 간 연계성이 국면전환을 나타내었다. 셋째, 강남3구 부동산시장은 전국 및 서울 타 지역과 비교하여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과의 상호작용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외부충격에 대해 차별적인 반응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ime-varying and nonlinear causal relationships among cryptoassets, real estate, and stock markets in Korea,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Gangnam 3 district. The cryptocurrency indicator was expanded to include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Bitcoin, Ethereum, and altcoins (TOTAL2). Using time-varying parametric vector autoregression, Markov-switching, and nonlinear Granger causality econometric models, we investigate how asset market linkages evolve through phase transitions and structural shif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assets and Gangnam 3 real estate, overlooked in linear models, becom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nonlinear models under conditions of high volatility or sharp price changes, with direction and strength shifting over time. Additionally, asset market linkages adjusted in response to external shocks (e.g., interest rate changes, economic cycles, and global financial events). Furthermore, the Gangnam 3 real estate market displayed stronger interactions with crypto and stock markets than other regions of Seoul and the country, and responded differently to external shoc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