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ltural Elements in Korean and Vietnamese Film Remakes : Intimate Strangers (완벽한 타인) and Bloody Moon Party (Tiệc Trăng Máu)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티하치(Thi Ha Chi Giang) 오현아(Hyeon-ah Oh)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4호, 429~479쪽, 전체 5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8,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개봉한 한국 영화 <완벽한 타인>과 2020년 개봉한 베트남 영화 (블러디 문 파티)를 중심으로, 문화 요소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과 베트남 양국 간의 공통의 문화 요소와 대조적 문화 요소를 탐색하는 데있다.
연구 결과, 동일한 원작 시나리오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판은 절제된 연기와 차분한 연출로 심리적 긴장을 정교하게 축적하는 반면, 베트남판은 코미디적 대사 배치를 통해 관객과의 정서적 거리를 좁힌다. 이는 체면과 사생활을 중시하여 불편한 진실의 폭로를 금기시하는 한국 문화와, 웃음과 ‘이화위귀(以和爲貴)’로 갈등을 완화하는 베트남 문화의 가치 차이를 반영한다. 더 나아가 배경과 시공간, 스마트폰 사생활 인식, 집들이 선물, 음식 등 일상문화 요소들도 상징적으로 대비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맥스에서의 발화와 감정 표출은 언어가 가치·관계 규범·감정 전략을 비추는 ‘문화의 거울’임을 드러낸다.
두 영화 속에 나타난 문화 요소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단순히 등장인물과 서사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국가에서 문화가 의사소통 방식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는 외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언어 사용 맥락에 공감하고, 외국어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오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by comparing and analyzing cultural elements in the Korean and Vietnamese remakes of the film Perfect Strangers. The South Korean remake Intimate Strangers (완벽한 타인) was released in 2018, while the Vietnamese film Bloody Moon Party (Tiệc Trăng Máu) opened in 2020. Despite using the same original screenplay, the Korean version builds psychological tension through restrained acting and calm direction, while the Vietnamese version narrows the emotional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film through comedic dialogue. This reflects a difference in values—Koreans value social image and privacy and avoid exposing uncomfortable truths, while the Vietnamese use laughter and “Ihwa-wi-gwi” to alleviate conflict. Furthermore, everyday cultural elements such as background, time, space, smartphone privacy awareness, housewarming gifts, and food are symbolically contrasted. Finally, speech and emotional expressions at the climax reveal that language serves as a “mirror of culture,” reflecting values, relational norms, and emotional strategies.
By analyz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lms, one can go beyond simply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and narratives to examine how culture influences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in each country. Such understanding could help foreign language learners grasp real-life language usage contexts and reduce misunderstanding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완벽한 타인>과 에 나타난 공통의 문화 요소
3. <완벽한 타인>과 에 나타난 대조적 문화 요소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강의에서 매체 효능감과 학습 실재감이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 학습 활동 구현 양상 분석 - 매체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 메타버스 한국어 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인과 평가 사례 연구 - 메타버스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 지식·기술·태도 관점에서 본 AI 리터러시 역량 체계 탐색 - OECD 문서를 활용한 텍스트마이닝 중심으로
- 생성형 AI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재구성 방안 - 과정 중심·장르 기반 교육과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합한 ‘AI 협력 글쓰기 교육 모형’ 제안
-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서 AI 챗봇 피드백 활용과 학습자 수용 양상 연구 - GPTs 기반 맞춤형 피드백 챗봇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미술 전공 학습자 대상 PBL 기반 대학 글쓰기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 대학 신입생의 자아성찰을 위한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 교육 연구
-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위한 제안텍스트 분석 - 보고텍스트와 비교를 통한 교수-학습 방안
- 프로젝트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 및 적용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과 피드백에 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교양으로서의 문학교육 연구
-
한국과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속에 나타난 문화 요소 고찰 - <완벽한 타인>과
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