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Literary Education as a Liberal Ar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임선숙(Sun Sook L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4호, 403~4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용주의 담론이 강화되고 인문학의 위기가 심화되는 대학 교육 환경 속에서 교양으로서 문학교육의 의미와 방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교양’, ‘문학(고전)’, ‘읽기’라는 세 개의 핵심 요소를 반영해 교양으로서의 문학교육 목적을 ‘문학이라는 매체를 통해 인간과 사회를 성찰하는 것’으로 설정했으며, D대학의 필수 교양 과목인 <명저읽기> 문학 분반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문학교육 방법과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수업은 문학적 의미 읽기를 기반으로 비판적, 창의적 의미 읽기로 확장되는 구조로 구성했으며, 조별 토론과 발표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자율적 사고와 표현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소설 요소를 중심으로 한 문학적 의미 읽기를 바탕으로 사회,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인간과 사회를 성찰하는 능력도 함께 함양할 수 있었다. 이는 창의적인 사고의 확장과 주체적 사유를 통한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이라는, 오늘날 대학이 감당해야 하는 교양의 가치와도 부합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subject within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where pragmatist discourse is on the rise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s deepening. By focusing on the three core elements—‘liberal arts,’ ‘literature (classics),’ and ‘reading’—the study defines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as fostering reflection on humanity and society through literary texts. Using the case of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compulsory liberal arts course Reading Great Books at D University, the study examines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efficacy of the course. The class was structured to expand from literary interpretation to critical and creative readings of meaning, encouraging students’ autonomous thinking and expression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As a result, students developed the ability to critically reflect on human beings and society withi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grounded in literary reading focused on novel elements. This aligns with the essential values of liberal arts education today, such as fostering creative thinking and nurturing the capacity for independent problem-solving.
목차
1. 서론
2. 교양으로서의 문학교육 목적
3. 교양 고전읽기 수업 구성
4. 교양 고전읽기 수업의 실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강의에서 매체 효능감과 학습 실재감이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 학습 활동 구현 양상 분석 - 매체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 메타버스 한국어 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인과 평가 사례 연구 - 메타버스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 지식·기술·태도 관점에서 본 AI 리터러시 역량 체계 탐색 - OECD 문서를 활용한 텍스트마이닝 중심으로
- 생성형 AI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재구성 방안 - 과정 중심·장르 기반 교육과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합한 ‘AI 협력 글쓰기 교육 모형’ 제안
-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서 AI 챗봇 피드백 활용과 학습자 수용 양상 연구 - GPTs 기반 맞춤형 피드백 챗봇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미술 전공 학습자 대상 PBL 기반 대학 글쓰기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 대학 신입생의 자아성찰을 위한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 교육 연구
-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위한 제안텍스트 분석 - 보고텍스트와 비교를 통한 교수-학습 방안
- 프로젝트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 및 적용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과 피드백에 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교양으로서의 문학교육 연구
-
한국과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속에 나타난 문화 요소 고찰 - <완벽한 타인>과
를 중심으로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