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계화 적응성이 높은 내탈립 다수성 콩 품종 ‘강한’

이용수  0

영문명
‘Ganghan,’ A High-Yielding and Mechanization-Compatible Soybean Cultivar with Lodging and Pod Shattering Resistance
발행기관
한국육종학회
저자명
김남걸(Namgeol Kim) 이석기(Seuk-Ki Lee) 유요한(Yo-han Yoo) 이인혜(Inhye Lee) 조광수(Kwang-soo Cho) 서민정(Min-Jung Seo) 강범규(BeomKyu Kang) 서정현(JeongHyun Seo) 김준회(JunHoi Kim) 허수빈(SuVin Heo) 최진실(Jinsil Choi) 조현태(Hyeon Tae Cho)
간행물 정보
『한국육종학회지』Vol.57 No.3, 315~3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한’은 기계화 수확에 적합한 내탈립 다수성 콩 육성을 목적으로, ‘태선’(IT333598)을 모본으로, ‘청아’를 부본으로 2015년에 인공교배 후 계통육종법을 통해 육성되었다. ‘강한’은 유한신육형이며, 평균 경장 65 cm, 착협고 19.6 cm로 기계화 수확에 유리한 초형을 가진다. ‘강한’은 대조품종인 ‘대원콩’ 대비 도복에 강하였고, 유전적으로 내탈립성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내병성 평가에서는 콩모자이크바이러스(G6H), 불마름병, 검은뿌리썩음병 등 주요 병에 대해 대조품종보다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품질 측면에서, ‘강한’은 단백질 함량 38.8%, 지방 17.6%, 불포화지방산 비율 86.1%, 총 이소플라본 3,124 μg/g을 보였으며, 두부 수율 232%로 기계적 물성과 색차에서도 대조품종 ‘대원콩’과 동등한 수준을 보였다. 발효 적성에서도 점질물 함량(γ-PGA, 11.4 mg/g) 및 아미노태 질소(390 mg%) 함량이 우수하여 장류용 콩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2020~2022년 10개 지역에서 수행된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수량은 3.58 ton/ha로 ‘대원콩’ 대비 14%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전라남도 나주에서는 최대 28% 증수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강한’의 도입 및 확대는 국내 콩 재배 현장의 생산량, 수확 효율성 증가 그리고 기후변화 및 재배 안정성 제고 측면에서 국내 콩 자급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Ganghan’ is a high-yielding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 developedfor improved shattering resistance and suitability for mechanized harvesting. It was bredthrough pedigree selection after an artificial cross between ‘Taeseon’ (female parent) and‘Cheonga’ (male parent) in 2015. ‘Ganghan’ is a determinate type with an average mainstem length of 65 cm and first pod height of 19.6 cm, which is favorable for mechanicalharvesting. Compared to the control cultivar ‘Daewonkong,’ it showed stronger lodging toleranceand carried a genetic allele associated with pod shattering resistance. In diseaseresistance evaluations, it exhibited higher resistance than ‘Daewonkong’ to soybeanmosaic virus (G6H), bacterial pustule, and black root rot. Regarding seed quality, it contained38.8% protein, 17.6% oil, 86.1% unsaturated fatty acids, and 3,124 μg/g total isoflavones. The tofu yield was 232%, with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omparable to ‘Daewonkong.’In fermentation processing tests, ‘Ganghan’ recorded a γ-PGA content of 11.4 mg/g andamino nitrogen content of 390 mg%, indicating potential use in traditional fermented soyfoods. In regional yield trials (RYT) conducted across 10 locations from 2020 to 2022,‘Ganghan’ had an average yield of 3.58 tons/ha, 14% higher than that of ‘Daewonkong’. Theadoption and expansion of ‘Gangha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ed domesticsoybean productivity, harvest efficiency, and cultivation stability under changing climateconditions, thereby improving the domestic soybean self-sufficiency rate (RegistrationNo. 10459).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걸(Namgeol Kim),이석기(Seuk-Ki Lee),유요한(Yo-han Yoo),이인혜(Inhye Lee),조광수(Kwang-soo Cho),서민정(Min-Jung Seo),강범규(BeomKyu Kang),서정현(JeongHyun Seo),김준회(JunHoi Kim),허수빈(SuVin Heo),최진실(Jinsil Choi),조현태(Hyeon Tae Cho). (2025).기계화 적응성이 높은 내탈립 다수성 콩 품종 ‘강한’. 한국육종학회지, 57 (3), 315-328

MLA

김남걸(Namgeol Kim),이석기(Seuk-Ki Lee),유요한(Yo-han Yoo),이인혜(Inhye Lee),조광수(Kwang-soo Cho),서민정(Min-Jung Seo),강범규(BeomKyu Kang),서정현(JeongHyun Seo),김준회(JunHoi Kim),허수빈(SuVin Heo),최진실(Jinsil Choi),조현태(Hyeon Tae Cho). "기계화 적응성이 높은 내탈립 다수성 콩 품종 ‘강한’." 한국육종학회지, 57.3(2025): 315-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