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립종 장원형 입형특성의 자포니카 중만생 벼 ‘제이제이625엘지’

이용수  0

영문명
Mid-Late Maturing Japonica Rice Cultivar ‘JJ625LG’ with Long and Spindle-Shaped Grains
발행기관
한국육종학회
저자명
박현수(Hyun-Su Park) 백만기(Man-Kee Baek) 서정필(Jung-Pil Suh) 정오영(O-Young Jeong) 이창민(Chang-Min Lee) 김춘송(Choon-Song Kim) 정지웅(Ji-Ung Jeung) 김우재(Woo-Jae Kim) 정종민(Jong-Min Jeong) 모영준(Youngjun Mo) 하수경(Su-Keyong Ha) 최현구(Hyun Gu Choi) 박슬기(Seul-Gi Park) 진민아(Mina Jin) 박재령(Jae-Ryoung Park) 서정환(Jeonghwan Seo) 박송희(Songhee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육종학회지』Vol.57 No.3, 301~3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JJ625LG’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 품종의 입형 특성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중간모본이다(전주625호, long grain). 초장립종 장원형 입형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자포니카 입형 다양화 육종소재 ‘HR30198-AC33’ (DGS79)를 모본으로 하고 자포니카 초다수 품종으로 중단립종 단원형 입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재배안정성이 우수한 ‘보람찬’을 부본으로 단교잡 인공교배하여 육성되었다. 집단육종법과 계통육종법을 병행하여 모본인 ‘DGS79’가 가지고 있는 늦은 출수기, 낀 까락, 도복에 약한 특성 등 열악형질을 제거하기 위한 강한 선발압을 적용하여 자포니카 생태종이면서 장립종에 장원형 입형 특성을 가진 우량계통을 선발하였다. 이후 생산력 검정시험과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거쳐 농업 관련 형질에 대한 특성을 정밀 검토하였고 ‘JJ625LG’가 선발되었다. ‘JJ625LG’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 8월 16일로 ‘남평’에 비해 3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JJ625LG’는 ‘남평’과 비슷한 단간이며 수당립수가 많고 수수가 적은 편이며 현미천립중이 무거웠다. ‘JJ625LG’는 벼흰잎마름병(K1, K2, K3 레이스)에는 강하나 바이러스병과 해충에 약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수량성은 ‘남평’과 비슷한 수준이다. ‘JJ625LG’는 현미길이가 6.34 mm로 장립종에 속하며 장폭비가 2.64인 장원형으로 기존 우리나라 자포니카 품종들이 가지고 있지 않는 입형 관련 대립유전자형 조합인 GW2-gs3-qSW5을 보유하고 있다. 도정률은 ‘남평’과 비슷하나 장립종으로 싸라기 발생이 많아 완전미 도정수율은 낮다. 밥맛은 자포니카의 차지고 부드러운 식감을 나타내며 식미관능검정 성적이 우수하였다. ‘JJ625LG’는 우리나라 최초의 자포니카 장립종의 중원형 입형 특성을 가진 중간모본으로 우리나라 자포니카벼 품종의 협소한 입형 특성을 다양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intermediate breeding material ‘JJ625LG’ was developed to diversify thegrain shape characteristics of Korean japonica rice cultivars. ‘JJ625LG’ was derived from across between ‘HR30198-AC33 (DGS79),’ a japonica breeding material with extra-longand spindle-shaped grains, and ‘Boramchan,’ a high-yielding japonica cultivar with excellentcultivation stability and medium-short and semi-round grains. By employing both bulk andpedigree breeding methods, strong selection pressure was applied to eliminate undesirabletraits inherited from ‘DGS79,’ such as very late heading, long awns, and susceptibility tolodging. Consequently, elite lines with long spindle-shaped grains on a japonica backgroundwere selected. These lines subsequently underwent yield performance and localadaptability tests, during which their agronomic traits were comprehensively evaluated,leading to the final selection of ‘JJ625LG.’ The heading date of ‘JJ625LG’ was August 16th,three days later than that of ‘Nampyeong’. Its culm length was similar to ‘Nampyeong.’‘JJ625LG’ exhibited a higher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fewer panicles per plant, andheavier 1,000-grain weight than brown rice. Additionally, it showed strong resistance tobacterial blight (races K1, K2, and K3) but was susceptible to viral diseases and insectpests,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se areas. Its grain yield was comparableto that of ‘Nampyeong.’ With a brown rice grain length of 6.34 mm, ‘JJ625LG’ wasclassified as a long-grain type and had a grain length-to-width ratio of 2.64, reflecting aspindle-shaped morphology. It carried the GW2-gs3-qSW5 allele combination associatedwith grain shape, which is a genetic profile not found in existing Korean japonica cultivars. Although its milling recovery rate was similar to that of ‘Nampyeong,’ the presence of manybroken rice due to its long grain shape resulted in a lower percentage of head rice. The eatingquality of ‘JJ625LG’ was excellent, with its grains exhibiting the sticky and soft texturetypical of japonica rice and receiving high scores in sensory evaluation. As the first intermediatebreeding material in Korea with long and spindle-shaped grains in a japonicabackground, ‘JJ625LG’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iversifying the traditionallynarrow grain shape spectrum of Korean japonica rice cultivars (Registration No. 10166).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수(Hyun-Su Park),백만기(Man-Kee Baek),서정필(Jung-Pil Suh),정오영(O-Young Jeong),이창민(Chang-Min Lee),김춘송(Choon-Song Kim),정지웅(Ji-Ung Jeung),김우재(Woo-Jae Kim),정종민(Jong-Min Jeong),모영준(Youngjun Mo),하수경(Su-Keyong Ha),최현구(Hyun Gu Choi),박슬기(Seul-Gi Park),진민아(Mina Jin),박재령(Jae-Ryoung Park),서정환(Jeonghwan Seo),박송희(Songhee Park). (2025).장립종 장원형 입형특성의 자포니카 중만생 벼 ‘제이제이625엘지’. 한국육종학회지, 57 (3), 301-313

MLA

박현수(Hyun-Su Park),백만기(Man-Kee Baek),서정필(Jung-Pil Suh),정오영(O-Young Jeong),이창민(Chang-Min Lee),김춘송(Choon-Song Kim),정지웅(Ji-Ung Jeung),김우재(Woo-Jae Kim),정종민(Jong-Min Jeong),모영준(Youngjun Mo),하수경(Su-Keyong Ha),최현구(Hyun Gu Choi),박슬기(Seul-Gi Park),진민아(Mina Jin),박재령(Jae-Ryoung Park),서정환(Jeonghwan Seo),박송희(Songhee Park). "장립종 장원형 입형특성의 자포니카 중만생 벼 ‘제이제이625엘지’." 한국육종학회지, 57.3(2025): 301-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