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BK1 유전자 보유 키다리병 중도저항성 중만생 내도복 다수성 찰벼 신품종 ‘진옥(眞玉)찰’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 Mid-late Glutinous Rice Cultivar. ‘Jinokchal,’ a Variety Resistant to Bakanae Disease Harboring the qBK1 Gene
발행기관
한국육종학회
저자명
조수민(Sumin Jo) 강주원(Ju-Won Kang) 이지윤(Ji-Yoon Lee) 조준현(Jun-Hyeon Cho) 권영호(Yeongho Kwon) 이소명(So-Myeong Lee) 최지수(Jisu Choi) 정종민(Jong-min Jeong) 김우재(Woo-Jae Kim) 이종희(Jong-Hee Lee) 박동수(Dong-Soo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육종학회지』Vol.57 No.3, 271~278쪽, 전체 8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벼 품종 ‘진옥찰’은 통일형 벼 품종 ‘신광’으로부터 qBK1 유전자가 도입된 자포니카형 고품질 찰벼 품종 육성을 위해 2022년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에서 육성한 품종이다. ‘진옥찰’은 '14 하계에 신광에 일반형 밥쌀용 고품질 품종인 ‘일품’이 6회 여교배된 ‘밀양299호’를 모본으로 하고 ‘백옥찰’을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한 후 계통육종법으로 육성되었다. 선발된 YR31624-5B-2 계통을 ‘밀양36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20~2022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하였다. ‘진옥찰’의 출수기는 영호남 평야지에서 보통기 보비 재배시 영호남 5개소 평균 8월 13일로 ‘신선찰벼’보다 늦은 중만생종이다. 벼 키는 77 cm로 ‘신선찰벼’보다 작으며 포기당 이삭수는 15개로 ‘신선찰벼’보다 적고, 이삭당 벼알수는 108개로 ‘신선찰벼’와 비슷하다. ‘진옥찰’의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각각 85.2%와 22.7 g으로 ‘신선찰벼’보다 유의적으로 높다. 도복, 도열병, 벼줄무늬잎마름병 및 흰잎마름병(K1~K3)에 강하나 해충에 약한 편이다. ‘진옥찰’은 통일형 벼 품종인 ‘신광’으로 부터 유래한 키다리병 저항성 QTL인 qBK1을 보유하여 키다리병에 중도 이상의 저항성을 보인다. ‘진옥찰’의 쌀수량은 497 kg/10a로 대비품종인 ‘신선찰벼’와 비슷하였다. ‘진옥찰’의 현미 장폭비는 1.82로 ‘신선찰벼’와 비슷하며 아밀로스와 단백질도 각각 5.0% 및 6.9%로 ‘신선찰벼’와 비슷한 고품질 찰벼이다.

영문 초록

Bakanae disease, caused by various Fusarium species, poses a significant threatto global rice production, with its incidence increasing in major rice-producing regions. Currently, no rice varieties exhibit complete resistance to this disease. Enhancing resistancein rice cultivars could serve as a cost-effective and sustainable alternative to fungicideapplication. Developing resistant rice varieties may offer a practical solution to mitigateyield losses and reduce dependency on chemical treatments. ‘Jinokchal’ was derived fromthe cross between ‘Milyang299’, which harbors bakanae disease-resistant QTL qBK1. and‘Baekokchal’ in 2014. A promising line, YR31624-5B-2, was then selected and designatedas ‘Milyang366’ in 2019. The local adaptability test of ‘Milyang366’ was conducted at fivelocations from 2020 to 2022, and the cultivar was subsequently named ‘Jinokchal. ’ Theheading date of ‘Jinokchal’ was August 13, classifying it as a medium-late maturing cultivar. The culm was 77 cm long and had 108 spikelets per panicle. The 1,000 grain-weight ofbrown rice is 22.7 g, which is heavier than that of ‘Sinseonchalbyeo’. This variety is resistantto blast, rice stripe virus, and bacterial blight, but susceptible to insect pests. The yieldpotential of ‘Jinokchal’ was approximately 497 kg/10a at the ordinary fertilizer level in thelocal adaptability test over three years. ‘Jinokchal’ is moderately resistant to bakanae diseaseand harbors the qBK1 gene derived from the tong-il type rice ‘Shingwang’ (Registration No. 8135).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수민(Sumin Jo),강주원(Ju-Won Kang),이지윤(Ji-Yoon Lee),조준현(Jun-Hyeon Cho),권영호(Yeongho Kwon),이소명(So-Myeong Lee),최지수(Jisu Choi),정종민(Jong-min Jeong),김우재(Woo-Jae Kim),이종희(Jong-Hee Lee),박동수(Dong-Soo Park). (2025).qBK1 유전자 보유 키다리병 중도저항성 중만생 내도복 다수성 찰벼 신품종 ‘진옥(眞玉)찰’. 한국육종학회지, 57 (3), 271-278

MLA

조수민(Sumin Jo),강주원(Ju-Won Kang),이지윤(Ji-Yoon Lee),조준현(Jun-Hyeon Cho),권영호(Yeongho Kwon),이소명(So-Myeong Lee),최지수(Jisu Choi),정종민(Jong-min Jeong),김우재(Woo-Jae Kim),이종희(Jong-Hee Lee),박동수(Dong-Soo Park). "qBK1 유전자 보유 키다리병 중도저항성 중만생 내도복 다수성 찰벼 신품종 ‘진옥(眞玉)찰’." 한국육종학회지, 57.3(2025): 271-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