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tinal Occlusive Vasculitis after Intravitreal Brolucizumab Injection for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기태은(Tae Eun Kee) 최현규(Hyeon Gyu Choi) 김경래(Kyoung Lae Kim) 김용규(Yong-Kyu Kim) 박성표(Sung Pyo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8, 346~35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유리체강 내 브롤루시주맙 주입술 시행 뒤 안내염증의 선행 후 발생한 폐쇄성 망막혈관염을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한 증례를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기저 질환 없는 73세 여자 환자가 10개월 전 우안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진단 후 5차례의 유리체강 내 애플리버셉트 주입술 후에도 재발 소견을 보여 브롤루시주맙으로 약제를 변경하였다. 주사 7주 후 전방염증이 관찰되어 스테로이드 안약 점안을 시작하였다. 치료 5주 후 우안 시력저하 및 중심암점을 호소하여 시행한 안저검사상 망막창백, 망막동맥 혈관초, 빛간섭단층촬영상 내망막층반사 증대가 관찰되었다. 형광안저조영술에서 초기 망막동맥의 충만 결손과 주변 저형광, 후기 시신경유두 과형광이 관찰되었다. 브롤루시주맙 주사 후 발생한 폐쇄성 망막혈관염 진단 후 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사 및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을 시작하였다. 치료후 망막동맥의 혈관초 및 망막창백은 소실되었고, 망막창백이 있던 영역의 위축을 제외하고 추가 합병증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기저 질환이 없는 고령의 환자에서도 폐쇄성 망막혈관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내염증이 선행된 경우 경과 관찰 간격을 줄여발생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retinal occlusive vasculitis, following intraocular inflammation, after an intravitreal injection of brolucizumab, which was diagnosed and treated promptly.
Case Summary: A 73-year-old woman with no prior underlying diseases presented with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hich had been diagnosed in her right eye 10 months prior. Due to increased disease activity despite five previous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s, treatment was switched to brolucizumab. Seven weeks after treatment,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was observed; treatment consisted of steroid eye drops. Five weeks later, the patient experienced decreased visual acuity and central scotoma in her right eye. Fundus examination revealed retinal whitening and arterial sheath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inner retinal hyper-reflectivity. Fluorescein angiography indicated a retinal arterial filling defect and hypo-fluorescence around retinal vessels in the early phase and hyper-fluorescence at the optic disc in the late phase. Consequentl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retinal occlusive vasculitis after brolucizumab injection. Treatment included subtenon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and oral steroids, which led to resolution of the retinal arterial sheathing and whitening. The patient remains under observation without new complications, other than atrophy in the area previously affected by retinal whitening.
Conclusions: Retinal occlusive vasculitis can occur in older patients without any underlying health conditions. In cases preceded by intraocular inflammation, follow-up intervals should be shortened to enable early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급성폐쇄각녹내장에서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속발내사시 예방목적의 내외직근 동시 후전: 탐색적 증례군 연구
-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맥락막박리 및 전방소실의 위험인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