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이지 않는 교차점에서의 수학 경험: 다문화 학생의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제언

이용수  0

영문명
Mathematics at Invisible Intersections: Proposing a Narrative Inquiry into Multicultural Students’ Experiences
발행기관
수학교육철학연구회
저자명
황지혜(Jihye Hwang)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철학연구』7권 2호, 169~1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 수학교육에서 소외되어 온 다문화 학생들의 복합적인 수학 학습 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한 연구 제언을 목표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학생들의 목소리에 주목하며,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이론적 틀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방법론적 틀로 제안한다. 제안하는 관점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연으로서, 시공간적 맥락은 다르지만 연구자 자신의 미국에서의 소수자 경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연구자 경험을 교차성 이론으로 분석한 결과, 젠더, 인종, 언어 등 다중 정체성이 수학 학습 경험과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4단계 과정(젠더화된 수학 정체성 형성, 교차적 충격 발생, 교차성의 체화, 가치 위계와 자기 인식의 내면화)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4단계 모델은 다문화 학생 경험 이해의 개념적 관점을 제시하며, 기존의 결핍 중심 시각을 넘어 학생들을 교육 경험의 주체로 인정하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research direction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mathematical learn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students who have been marginalized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Focusing on students' voices that have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existing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proposes intersectionality theory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narrative inquiry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As a methodological demonstration to validate the proposed persp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her own narrative of minority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the different context. The intersectionality analysis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revealed a four-stage process through which multiple identities-including gender, race, and language-influence mathematical learning experiences and identity formation: pre-existing mathematical identity formation, intersectional shock occurrence, embodiment of intersectionality, and internalization of value hierarchies and self-perception. This four-stage model provides a conceptual lens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tudents' experiences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moving beyond deficit-oriented perspectives to recognize students as agents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listen to their voice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자의 내러티브
Ⅳ. 내러티브의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Ⅵ. 맺음말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혜(Jihye Hwang). (2025).보이지 않는 교차점에서의 수학 경험: 다문화 학생의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제언. 수학교육철학연구, 7 (2), 169-188

MLA

황지혜(Jihye Hwang). "보이지 않는 교차점에서의 수학 경험: 다문화 학생의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제언." 수학교육철학연구, 7.2(2025): 16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