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봄철 남부지역 논에서 녹두의 품종별 종실 생산량과 품질 특성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Seed Yield and Quality of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Cultivars Grown in the Paddy Field of Southern Korea on Spring Season
발행기관
한국자원식물학회
저자명
오서영(Seo Young Oh) 김태희(Tae Hee Kim) 김성훈(Sung Hoon Kim) 최지수(Jisu Choi) 박종호(Jongho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8권 제4호, 365~37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봄철에 남부지역 논에서 재배하면 유리한 녹두 품종을 선발하고자 4품종(다현, 산포, 아름, 다도)의 녹두를 대상으로 생육특성, 종자 수확량과 성분, 숙주나물 생산을 위한 발아율과 나물수율 등을 확인하였다. 개화는 파종 후 55일 정도 소요되었다.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수는 아름과 다도는 84일이며, 다현과 산포는 98일이었다. 그리고 논에서의 녹두 재배는 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하였다. 즉, 녹두 재배 후에 토양의 기상율은 높아져서 공극률이 증가하고 용적 밀도는 낮아졌다. 또한토양 유기물 함량과 치환성 양이온(Ca2+, Mg2+과 Na+) 함량이다소 증가하였다. 종실 수량은 다현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247 ㎏/10a 이상으로 많았다. 그리고, 다도와 산포는 도복에 강한 특성을 보였다. 종실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수분 > 조회분 > 조지방 순이며, 4품종 모두 탄수화물이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나물 수율은 다도가 가장 높았으며 산포는 다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녹두의 재배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뿐더러 다도와 산포는 도복에강하고 수확량이 많아 남부지역의 논에서 재배하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다도는 종자 발아율과 나물 수율이 높아숙주나물 생산에 유리하고, 산포는 발아율과 나물 수율이 낮아숙주나물로의 이용보다는 종자 자체로 소비하거나 분말로 가공하는 식품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elect great cultivars to grow in rice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region on spring season, growth, seed yield and organic components,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four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cultivars (‘Areum’, ‘Dado, ‘Dahyun’, and ‘Sanpo’). The flowering time was about 55 days after sowing. Harvesting time was 84 days after sowing for ‘Areum’ and ‘Dado’, and 98 days after sowing for ‘Dahyun’ and ‘Sanpo’. Mungbean cultivation in the paddy field improv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that is, it increased the air phase, resulting in the porosity increase and the bulk density decrease, and increased the contents of the soil organic matter and the exchangeable cations (Ca , Mg , and Na ) slightly. Seed yield was high above 247 ㎏/10a in all three cultivars except ‘Dahyun’. Furthermore ‘Dado’ and ‘Sanpo’ are more resistant than ‘Areum’ and ‘Dahyeon’ to lodging caused by rain and/or win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seeds are great in the order of carbohydrate > protein > moisture > ash > crude fat, and carbohydrate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all four cultivars.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vegetable sprout yield were the highest in ‘Dado’, but slightly low in ‘Sanpo’. Based on these results, mungbean cultivation in paddy fields improve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nd ‘Dado’ and ‘Sanpo’ are resistant to lodging and have high seed yields. Therefore, ‘Dado’ and ‘Sanpo’ seem to be favorable for cultivation in rice paddies in the southern region. Furthermore, ‘Dado’ could be used for producing vegetable sprouts due to its seed germination rate and sprout yield, and ‘Sanpo’ seems to be applied to the food industry by utilizing seeds themselves, or by processing them into powder due to its low germination yield and high hard-coated seed rate.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사 사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서영(Seo Young Oh),김태희(Tae Hee Kim),김성훈(Sung Hoon Kim),최지수(Jisu Choi),박종호(Jongho Park). (2025).봄철 남부지역 논에서 녹두의 품종별 종실 생산량과 품질 특성 평가.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8 (4), 365-374

MLA

오서영(Seo Young Oh),김태희(Tae Hee Kim),김성훈(Sung Hoon Kim),최지수(Jisu Choi),박종호(Jongho Park). "봄철 남부지역 논에서 녹두의 품종별 종실 생산량과 품질 특성 평가."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8.4(2025): 36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