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imulation Results for the Detectability of Person in Water by Applying the Expanding Square Search Pattern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박재홍(Chae Hong Pak) 정중식(Jung Sik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9권 제4호, 448~45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 항공 및 해상 수색구조 지침(IAMSAR)에 따른 수색패턴 중 수색 범위가 한정적일 때 사용하는 확대사각수색 패턴은 익수자 수색 시 객체에 미치는 표류 영향이 반영되도록 추측항법을 권고한다. 객체의 추정 위치인 기준점으로부터 첫 수색 구간 방향은 항해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라는 짧은 설명과 함께 풍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IAMSAR에 대한 미국 수색구조 보충서(NSS)의 USCG 추록에서는 추측항법을 일반적 적용항법으로 명시하며, 첫 수색 구간은 풍상과 객체 표류 방향 둘 다로 설명하고 있다. IAMSAR 2권 N-2에 따르면 익수자는 풍압 영향은 거의 없고, 총 수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고려할 때 첫 수색 구간 방향 결정에 있어 풍상과 객체의 표류 방향에 따라 탐지 가능성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IAMSAR와 USCG 추록을 분석하고, 첫 수색방향과 탐지가능성과의 상관관계 및 추측항법의 효과 확인을 위해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 익수자 대상 3종의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확대사각수색 첫 수색 구간은 풍상이 아닌 객체의 표류 방향이 더 높은 탐지가능성을 보였으며, 위성항법 측위를 따르는 수색보다는 추측항법 활용이 더 적절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익수자 대상 확대사각수색 시 첫 수색 구간 방향 및 적용항법 결정에 대한 지침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Among the IAMSAR search patterns, the expanding square search(SS), which is used when the search range is limited, recommends dead reckoning(DR) navigation to account for the total drift effects on person in water(PIW). The direction of the first leg from the datum is described as upwind, with only a brief explanation that this is to minimize navigation errors. However, in the USCG addendum to the NSS to the IAMSAR, DR is designated as the general navigation method, a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leg includes both the upwind direction and the object's drift. According to IAMSAR Vol. II N-2, PIW i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total water current and minimally by leeway, suggesting that the direction of the first leg relative to both the upwind and the object's drift may affect detect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wo guidelines and conducted three comparative experiments on PIW using a ship handling simulator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eg and detectability, as well a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DR navig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tting the first leg along the drift direction of the PIW, rather than upwind, improved detectability. Additionally, DR proved more effective than following waypoints derived from satellite navigation. This study may inform improvements to guideline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leg and navigation methods in SS for PIW.
목차
1. 서 론
2. SS 패턴 적용지침 분석
3. 탐지가능성 시뮬레이션
4.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9권 제4호 목차
- 주·야간 도선 위험요인 비교 분석 연구
- 군경 해양데이터 분석활용기술 개발을 위한에이전트 기반 해상교통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
- 경인항 항만시설관리권 매각 확대 전략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연안침식 관리 역량이 해양재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스마트 항로표지에서 대기질 정보 제공을 위한 국내용 AIS-ASM 정의
- 항적데이터 기반 격자형 공간통계를 활용한 선박종류 분류 모델 개발
-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신기술 도입 연구
-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구조물의 반사특성 및 반사계수 경험식 제안
- AHP를 활용한 엔지니어링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항만분야를 중심으로
- 기술변화에 대응하는 고등교육 혁신 방향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 지역 스마트물류 인재 양성 전략을 중심으로
- Scenario Design for Collision Avoidance of Remotely Controlled Ships under Time Delays
- 확대사각수색 패턴 적용 익수자 탐지가능성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광양항 항만운송관련산업 동태적 경영 효율성 분석
- 자율운항선박 시대 대비 해양경찰 임무대응 방향성 분석: AHP 기법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이 항만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해양 도메인 특화 자연어 질의를 위한 템플릿 기반 SQL 제안 시스템: 벡터 검색 접근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북극항로 현황 및 우리나라 활용 방안
- 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