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gnitive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of red burnished jar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이명훈(Myung Ho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129호, 29~6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호는 크기와 세부적인 형태 차이가 분명하지만, 매우 높은 유사성이 확인 된다. 적색마연호가 높은 형태적 유사성을 보이는 이유는 토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속성의 비율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즉, 토기의 외형적인 비율이 거의 동일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적색마연호의 외형적 비율이 유사한 원인을 제작자가 머릿속에 그렸던 이미지, 일종의 제작도면이 상당한 수준에서 정형화된 것으로 보았다. 필자는 토기 제작자가 가졌을 제작도면의 이미지를 토기 외형에 대한 ‘인식적 틀’이라고 상정하고, 인식적 틀이 얼마나 정형화되었는지 검토하여 적색마연호의 전문적인 생산 체계를 추적해보았다. 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횡적 측면, 종적 측면, 혼합 측면에서 다양한 인식적 틀이 확인되었고, 또 상당한 수준으로 정형화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적색마연호는 ‘전체’와 ‘부분’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외형의 비율이 결정된다는 인식적 틀을 확인하였다.
정형화된 인식적 틀이 오랜 시간, 넓은 지역에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토기 제작의 기술과 외형에 대한 인식(인식적 틀)이 교육되고 계승되었으며 공유되었기 때문이다. 즉,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호는 제작기술과 외형에 대한 인식이 교육되고 계승되는 제작 시스템 속에서 출현한 전문공인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적색마연호를 제작한 전문공인은 전업적 형태나 대량생산에 미치지 못한 매우 초보적인 수준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적색마연호를 제작한 전문공인은 이후 사회에서 출현하는 전업적 생산이나 대량생산으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 청동기시대에 내딛어졌다는 출발이라는 점에서, 출현 그 자체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Bronze Age red burnished jar vary in size and shape. Nevertheless, appearance is perceived very similarly. What is the reason? The reason is that the ratio of appearance is similar.
In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external ratio of red burnished jar was similar. And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 image that the earthenware maker drew in his head was the same. In other words, it was considered that a kind of production drawing was standardiz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this study, the image of the production drawing of the earthenware maker was assumed as a ‘A cogvitive framework’ for the appearance of the earthenware. And by examining how formalized the cognitive framework was, the 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of red burnished jar was track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the proportion of the earthenware appearance and the variance of the proportion. For example, it was examined how hi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atio of the body and the overall horizontal and vertical ratio of the earthenware show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mon perception used when producing red burnished jar throughout Gyeongnam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cognitive framework for creating the ratio of the ‘part’ based on the ‘whole’ was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framework showed very high similarity.
The reason why the cognitive framework was shared for a long time and in a wide area was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the succession of earthenware production through education. And through this system, it was considered that a production expert, that is, a professional public figure, of the red burnished jar appeared.
The professional public figure of the Bronze Age is rudimentary.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professional public figure of the Bronze Age has emerged. This is because the first step toward a more advanced production system was taken in the Bronze Age.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및 대상
Ⅲ. 통계학적 분석
Ⅳ. 적색마연호 외형에 대한 인식적 틀
Ⅴ. 인식적 틀의 사회적 의미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