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erformance: Mediation b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용수  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최중락(Jung Rak Choi)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3권, 123~15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 WFF)-즉, 직장 경험이 가정생활을 얼마나 향상시키는가에 대한 인식-이 정서적 조직몰입(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OC)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개인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기반하여, 조직이 직원들이 일과 가정 역할을 효과적으로 조화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경우, 직원은 조직에 대해 더 강한 정서적 유대감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행동으로 보답할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한다. 자료는 한국의 한 기업에서 전일제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내 인트라넷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성과 평가는 인사 부서에서 제공한 평가자료를 활용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가설을 검증했다. 첫째, WFF는 AOC와 정(+)의 관계를 가진다. 둘째, AOC는 WFF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 분석 결과, 두 가설 모두 지지되었다. 특히, WFF는 AOC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AOC는 WFF와 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가 가족 책임을 지원한다고 인식하는 직원일수록 조직에 더 깊은 정서적 몰입을 형성하며, 이는 더 높은 직무성과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집단 차이도 함께 분석한 결과, 여성 근로자가 남성 근로자보다 WFF와 AOC 수준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매개 경로 자체는 양 집단 모두에서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이는 WFF 경험의 강도에는 차이가 있더라도 기저 메커니즘은 일관되고 견고함을 나타낸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강조되던 직무만족 외에도 정서적 몰입(AOC)이 WFF와 성과 간 관계에서 핵심 매개 변수임을 강조함으로써 기존 문헌에 기여한다. AOC는 조직 가치에 대한 정체성 기반의 깊은 정렬(align)을 반영하기 때문에 성과를 유도하는 보다 강력한 요소로 작용한다. 실무적으로는 유연근무제, 공감적 리더십, 가족 요구를 반영한 업무 설계 등 WFF 친화적 정책이 단순한 복지의 개념을 넘어서 직원 복지와 조직 효과성 모두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조직이 WFF를 단순한 지원 차원이 아닌, 몰입과 생산성을 촉진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간주할 것을 권고한다. 특히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과 다양한 인력구성이 확산되는 오늘날, 관리자는 직원을 일과 가정에 모두 속한 ‘전체 사람(whole person)’으로 대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mployees' perceptions of work-family facilitation (WFF)-the extent to which work experiences enhance family life-impact individual job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OC). Drawing on Social Exchange Theory, the research argues that when organizations enable employees to balance work and family roles effectively, employees are likely to reciprocate with stronger emotional bonds and performance-enhancing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full-time employees in a South Korean company using an intranetbased survey, with performance evaluations provided by the HR department. The study tested two hypotheses: first, that WFF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OC, and second, that AOC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FF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results support both hypotheses. Specifically, WFF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AOC, and AOC fu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FF and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ployees who perceive their work as supporting their family responsibilities develop deeper emotional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which in turn motivates higher job performance. The study also explored gender-based group differences, revealing that female employees reported lower levels of both WFF and AOC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the mediation pathway remained consistent across groups, suggesting that the underlying mechanism is robust, even if the experience of WFF varies. Theoretically,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highlighting AOC-not job satisfactionas a key mediating variable in the WFF-performance relationship. Affective commitment reflects a deeper, identity-based alignment with organizational values, making it a more powerful driver of performance. Practic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FFfriendly policies-such as flexible scheduling, empathetic supervision, and work design that acknowledges family demands-as tools for enhancing not only employee well-being, but als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earch encourages organizations to regard WFF not simply as a form of support, but as a strategic mechanism that fosters commitment and productivity. It underscores the need for managers to engage with employees as whole individuals embedded in both work and family systems, especially in the evolving context of hybrid work and diverse workforce need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y and Hypotheses
Ⅲ. Methods
Ⅳ. Results
V.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중락(Jung Rak Choi). (2025).Work-Family Facilitation and Performance: Mediation b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9 (3), 123-154

MLA

최중락(Jung Rak Choi).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erformance: Mediation b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9.3(2025): 123-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