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조직평판유지우려와 집단주의 지향성의 역할

이용수  3

영문명
Employees' Perceived CSR and Extra-Role Behaviors Toward External Stakeholders: Roles of Organizational Reputation Maintenance Concerns and Collectivistic Orientation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주영란(Young Ran Joo) 최병권(Byoung Kwon Choi)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3권, 67~9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정체성 이론과 인상관리 관점을 통합하여 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조직평판유지우려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주의 지향성, 즉 자아정체성의 원천으로서 집단의 목표와 집단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개인의 성향이 CSR 상황에서 조직의 평판유지에 대한 우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시차를 두고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총 210명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성원의 CSR 인식은 역할 외 CSR 행동 및 조직홍보행동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관계는 조직평판유지우려에 의해서 매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예상과는 달리 구성원의 CSR 인식이 조직평판유지우려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집단주의 지향성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했으며, CSR 인식이 조직평판유지우려를 매개로 역할 외 CSR 행동 및 조직홍보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 역시 집단주의 지향성이 낮은 구성원에게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조직의 긍정적인 평판을 형성·유지할 수 있는 주체라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조직평판유지우려가 조직의 대외적인 인상관리 동기를 자극함으로써 역할 외 CSR 행동과 조직홍보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grates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impression management perspective to clarify the underlying mechanism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their extra-role behaviors toward external stakeholder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reputation maintenance concerns within this relationship, as well as how collectivistic orientation―an individual’s tendency to value group goals and relationships with the group as a source of self-identity―moderates the effect of CSR perceptions on extra-role CSR behavior and loyal boosterism. To test these relationships, we conducted two time-lagged surveys of employees in Korea,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responses from 210 participa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employees' CSR percep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xtra-role CSR behavior and loyal boosterism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organizational reputation maintenance concerns. However,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indirect effect of CSR perceptions on extra-role CSR behavior and loyal boosterism through organizational reputation maintenance concerns was significant only among employees with low collectivistic orien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ighlights employees' concerns for maintaining organizational reputation can stimulate impression management motives toward external stakeholders, ultimately leading to extra-role behaviors such as extra-role CSR behaviors and loyal boosterism.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영란(Young Ran Joo),최병권(Byoung Kwon Choi). (2025).조직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조직평판유지우려와 집단주의 지향성의 역할.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9 (3), 67-98

MLA

주영란(Young Ran Joo),최병권(Byoung Kwon Choi). "조직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조직평판유지우려와 집단주의 지향성의 역할."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9.3(2025): 67-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