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coping Review of Music-Based Interventions for Hemodialysis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은(Young Eun Kim) 박혜영(Hye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2권 제2호, 127~1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 대상 음악기반 중재 연구를 주제범위 고찰하여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고 그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0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국내 문헌에서 ‘혈액투석’, ‘음악치료’, ‘음악요법’, ‘음악중재’ 등을 키워드로 7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검색하였고, 총 12편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영역에서 음악치료 전문가가 아닌 중재자가 실시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음악중재는 환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음악 감상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심리ㆍ정서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보고한 연구가 다수였다. 반면, 음악중재 기법과 음악의 치료적 기능은 일반적이고 포괄적으로 서술되어, 중재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치료적 근거는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현장 음악기반 중재에서 전문 음악치료사와의 협업을 통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음악기반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coping review of research on music-based interventions for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effects while comprehensively examining trend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Using keywords such as “hemodialysis,” “music therapy,” “music intervention,” and “music-based interventio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from 1990 to 2025 was searched across seven databases, resulting in the final selection of 12 stud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by non-music therapy professionals, mainly in the field of nursing. The music-based interventions typically consisted of music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patients’ preferences and showe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However, the intervention techniques and therapeutic functions of music were described in general and broad terms, with limited therapeutic evidence directly linked to the interven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systematic, evidence-based approach in collaboration with certified music therapists in medical settings for hemodialysis patients. It also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nd effective music-based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2권 제2호 목차
- A Scoping Review of Therapeutic Songwriting: Target Populations and Purposes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단회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과 경험: 예비적 탐색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에서 주 양육자가 경험한 가족 중심 케어와 가족 기능 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 치료적 노래만들기가 위탁형 대안학교 중학생의 자기표현력 및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의 기독교 영성을 통한 전문성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혈액투석 환자 대상 음악기반 중재 연구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참고문헌
-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Pain Practice
-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 Canadian Journal of Kidney Health and Disease
- Music Therapy Perspectives
-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Healthcar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 Journal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 Implementation Science
-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Nursing & Health Issues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The Lancet Neurology
- Journal of Music Therapy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European Review for Medical & Pharmacological Sciences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2권 제2호 목차
- A Scoping Review of Therapeutic Songwriting: Target Populations and Purposes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단회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과 경험: 예비적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