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rapeutic Songwriting on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Skill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Commissioned Alternat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서(Eunseo Kim) 정은주(Eunju Jeong)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2권 제2호, 5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 중심의 음악중재가 자기표현력과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위탁형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16명(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실험군은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중심의 음악 중재에 참여하였다. 자기표현 척도와 대인관계 기술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여 각각 집단 내 변화, 집단 간 변화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의자기표현 척도 총점이 사전 대비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이중 내용적 자기표현과 비언어적 자기표현 하위 점수가 사전 대비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 p<.05). 또한, 내용적 자기표현이 실험군의 사전-사후 변화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대인관계 기술 척도에서는 실험군의 총점이 사전 대비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중 만족감, 친근감, 의사소통, 개방성 하위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각 p<.05). 또한, 만족감, 친근감, 개방성 하위요인은 실험군의 사전-사후 변화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큰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치료적 노래만들기 중심의 음악 중재가 위탁형 대안학교 중학생의 자기표현력과 대인관계 기술 향상에 효과적이며, 궁극적으로 학교 적응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임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therapeutic songwriting intervention on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skills in 16 middle-school students experiencing school maladjustment.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8) and a control group (N= 8);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12 sessions (50 minutes each), delivered twice weekly. The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SDAT) and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s and Mann-Whitney U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DAT total score from pre- to post-test (p < .05), with significant gains in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subscales (p<. 05, respectively); the between-group change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SDAT total score (p <.05) and the Verbal Expression subscale (p < .001). For the RC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re- to post-test increases in the total score and in the Satisfaction, Intimacy, Communication, and Openness subscales (p <. 05, respectively). Between-group comparisons indicated greater improvem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Satisfaction, Intimacy, and Openness subscales (p <. 05,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apeutic songwriting can effectively enhance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functioning in middle-school students attending commissioned alternative schools, with potential downstream benefits for school adjus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2권 제2호 목차
- A Scoping Review of Therapeutic Songwriting: Target Populations and Purposes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단회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과 경험: 예비적 탐색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에서 주 양육자가 경험한 가족 중심 케어와 가족 기능 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 치료적 노래만들기가 위탁형 대안학교 중학생의 자기표현력 및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의 기독교 영성을 통한 전문성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혈액투석 환자 대상 음악기반 중재 연구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2권 제2호 목차
- A Scoping Review of Therapeutic Songwriting: Target Populations and Purposes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단회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과 경험: 예비적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