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동향: 2013년~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search Trends i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3 to 2024
발행기관
한국기록관리학회
저자명
이해영(Hae-Young Rieh) 성효주(Hyo-Ju Seong) 안정희(Jung-Hee Ahn) 서효선(Hyo-Sun Seo) 장연희(Yeon-Hee Jang)
간행물 정보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5권 제3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기록학 및 문헌정보학 분야 주요 6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 중 기록정보서비스 관련 197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범주는 법·제도·정책, 서비스 개발 및 개선(서비스 개발 및 개선 일반, 검색 및 열람서비스, 부가가치서비스, 활용촉진서비스), 서비스 평가, 이용자 연구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현장 중심 연구의 확대가 두드러졌다.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반영한 서비스 설계와 대학생, 고령자, 다문화 가정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정보서비스 전략이 연구되고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메타버스, 챗봇, 증강현실(AR)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이 기록정보서비스에 접목되고 있었다. 정보공개,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알 권리, 잊힐 권리 등의 이슈가 다뤄지고, 기록콘텐츠 개발, 전시, 교육, 홍보, 마케팅 전략 등 기록의 해석과 해설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이용자 만족도 조사와 평가지표 개발 등의 연구도 이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기록정보서비스의 이론적·실천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i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y analyzing 197 papers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24 in 6 major domestic journals in archival studie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nalysis categories include laws, systems, and policies; servic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general, search and browsing, value-added, and utilization-promotion services); service evaluation; and user studies. Findings highlight a notable expansion of field-oriented research and the design of services tailored to diverse user groups, such as college students, older adul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Studies increasingly integrate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metaverse platforms, chatbots, and augmented reality (AR)—into archival services. Moreover, studies actively discuss legal and ethical concerns, including information disclosure, personal data protection, copyright, and rights such as the right to know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Additionally, research supporting the interpretation and engagement of records, such as content development, exhibitions, education, outreach, and marketing, has expanded, alongside studies on user satisfaction and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s these trend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dvancement of domestic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주제별 연구 내용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영(Hae-Young Rieh),성효주(Hyo-Ju Seong),안정희(Jung-Hee Ahn),서효선(Hyo-Sun Seo),장연희(Yeon-Hee Jang). (2025).기록정보서비스 연구 동향: 2013년~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5 (3), 1-36

MLA

이해영(Hae-Young Rieh),성효주(Hyo-Ju Seong),안정희(Jung-Hee Ahn),서효선(Hyo-Sun Seo),장연희(Yeon-Hee Jang).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동향: 2013년~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5.3(2025):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