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Key Changes in ISO 14721:2025 and Their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to Korean Records Management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주영(Juyoung Kim) 김순희(Soon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5권 제3호, 175~1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ISO 14721:2025 개정판의 주요 구조적·개념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가 국내 기록관리시스템 설계 및 정책에 미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디지털 보존 환경의 급속한 기술 발전과 이용자 요구 변화에 대응하여 OAIS 참조모델은 대대적인 개정을 하였으나, 그에 대한 국내 차원의 분석 및 적용 논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2년판과 2025년 개정판을 비교·분석하여, 6개의 주요 변화 그룹으로 분류하여 유형화하고, 기록관리시스템 설계·운영에의 적용 가능성을 문헌 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개정판은 단순한 기술 업데이트를 넘어, OAIS 정의와 아카이브 보존의 전략과 책임성을 명확히 하고, 보존목표 및 보존감시와 같은 실행 중심 관리체계를 도입함으로써, 보존 품질의 정량적 평가 및 외부 환경 변화 대응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정보패키지 정의의 유연화, 기술지침 및 구현 요소의 구체화, 아카이브 간 협력모델의 확장은 시스템의 상호운용성과 유연성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 장기보존 정책 및 기록관리시스템의 정합성과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의 장기보존을 위한 정책·기술적 기반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key structural and conceptual changes in ISO 14721:2025 and examines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records management systems. In response to rapid technological shifts and evolving user needs in digital preservation, the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OAIS) Reference Model has undergone a major revision. However, domestic discussions on its application remain limit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2 and 2025 editions, six main categories of change are identified and evaluated for applica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Findings show that the revision clarified the definition and responsibilities of an OAIS, introduced frameworks such as the Preservation Objectives and Preservation Watch, and enhanced capabilities for assessing the preservation quality and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Updates to Information Package definitions, technical guidance, and archive interoperability models strengthened system flexibility and collaboration. As such,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directions for aligning Korean records management policies and systems with the revised OAIS model, ultimately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the policy and technological foundations for national long-term preservation.
목차
1. 서론
2. ISO 14721 개정 경과 및 주요 내용변화
3. ISO 14721:2025의 국내 기록관리시스템 적용 방안
4.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무자 관점에서 본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적용 사례 연구: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 대학기록관의 총장직선제 기록 수집 정책 연구
- Linked Open Data(LOD)를 활용한 아카이브 간 자료 연계와 활용 모델 연구 - 헝가리 소재 한국 관련 기록물을 중심으로
-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의 이미지 상호운용을 위한 IIIF 적용에 관한 연구
-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동향: 2013년~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사립대학 업무분석을 통한 기록물분류기준표 개발 -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국회의원 의정활동 기록 출처와 정리방안 연구: 우원식 컬렉션을 중심으로
- 사립대학교 기록평가업무 개선방안 연구
- 보존기록관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ISO 14721:2025 개정의 핵심 변화 분석과 국내 기록관리시스템의 적용 방안
- 진실화해위원회〈조사보고서〉패싯 분류체계 개발
- 오픈소스 기반의 AI 음성·텍스트 변환 기능 개발 및 대통령 음성을 통한 성능 분석
- 기록의 성립 요건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한국과 미국의 기록 처분동결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위한 논항구조 의미역 분석 기반 응답 논리 구조 설계
- KS X ISO 15489 기반 국립대학 연구기록물 관리 규정의 분석과 개선방안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아카이브 정책 설계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실무자 관점에서 본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적용 사례 연구: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 대학기록관의 총장직선제 기록 수집 정책 연구
- Linked Open Data(LOD)를 활용한 아카이브 간 자료 연계와 활용 모델 연구 - 헝가리 소재 한국 관련 기록물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