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amining Flow Through Facial Expression-Based AI: Effects of Learning Styles and Instructional Context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박소현(Sohyu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第96輯,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유형과 수업 맥락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표정 분석 모델(AI)을 활용하여 몰입 관련 정서 상태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Kolb의 경험학습이론에 따라 학습자는 동화형, 수렴형, 적응형, 확산형의 네 가지 학습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수업 맥락은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운영 형태는 개인·집단·혼합형으로, 수업 장소는 오프라인·온라인·블렌디드 러닝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2,175명의 성인 학습자로부터 수집된 100만 건 이상의 반복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집중, 집중하지 않음, 졸음의 세 가지 몰입 상태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학습유형은 몰입 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동화형 학습자에 비해 적응형 및 확산형 학습자는 집중하지 않거나 졸음 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학습유형과 운영 형태 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집단 수업이 적응형 및 확산형 학습자의 몰입을 효과적으로 지원한 반면, 개인 수업은 몰입 저해와 연관되어 있었다. 셋째, 수업 장소 측면에서는 적응형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졸음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환이 인지적 흐름을 방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개별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부합하는 수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표정 분석 AI를 활용한 대규모 학습 몰입 측정이 개인화된 교육 설계와 데이터 기반 교육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s influence flow, using facial expression-based AI to detect engagement-related emotional states.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tyles: assimilating, converging, accommodating, and diverging. Instructional contexts were defined by format (individual, group-based, blended format) and delivery mode (offline, online, blended learning). Over 1 million repeated observations from 2,175 adult learners were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variations in flow states: focused, distracted, or drowsy.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styles significantly predicted flow. Accommodating and diverging learner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istraction or drowsiness than assimilating learners. Group-based formats supported flow more effectively for these learners, while individual formats were linked to higher disengagement. Additionally, accommodating learners were more prone to drowsiness in blended delivery environments, possibly due to interruptions in cognitive flow.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instructional designs that reflect individual cognitive preferences. This study also illustrates the utility of facial expression-based AI for large-scale measurement of learning flo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상생 방안 탐구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