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a Metaverse-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은영(Eunyoung Kim) 이상수(Sangsoo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第96輯, 75~10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CC)을 증진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학습환경의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그 교육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설계・개발연구(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DDR) 절차를 기반으로 요구분석, 설계 원리 도출, 전문가 검토, 형성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습환경을 구조화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 중심성, 포용성, 실재감, 상호작용성을 핵심 축으로 하는 9개의 설계 원리와 33개의 세부 지침이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가 검토를 통한 내용 타당성과 학습자 대상 형성평가를 통해 실행 가능성과 교육적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단순한 기술적 도구가 아닌 교육학적 설계 준거틀로 정립하여, ICC 교육의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가능성을 확장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의 설계 원리는 고등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활용 가능성을 지니며, 후속 연구에서는 정량적 검증 및 장기적 추적을 통해 그 효과성을 심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for a metaverse-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CC) and to examine its educational validity. Employing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DDR), the study followed a systematic process consisting of needs analysis, derivation of design principles, expert review, and formative evaluation. As a result, nine design principles and thirty-three detailed guidelines were established, centered on user-centeredness, inclusiveness, presence, and interactivity.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were validated through expert content reviews and formative evaluation with students. Th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the metaverse as an educational framework rather than a mere technological tool, contributing to both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dvancement of ICC education. Furthermore, the proposed design principles can be applied across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particularly in higher education, whil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validate their effectiveness through quantitative evidence and longitudinal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공학연구
- 지식경영연구
- 사학
- 교과교육학연구
- 미디어와 교육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 교육공학연구
- 교육과학연구
- 교육방법연구
- 미래융합교육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한국언어문화학
- 한국교육
- 어문연구
- 교육과학연구
- 교양교육연구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한국교육학연구
-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 연구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교육연구
- 교육방법연구
- 리터러시연구
- 음악교육공학
- 중동연구
- 교육과학연구
- 언어연구
- Modern Language Journal
- In R. M. Paige (Ed.),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
- Educational Researcher
- Multilingual Matters
- Multilingual Matters
- Electronics
- Journal of Studies in International Education
- Sage
- International Journal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Governance, Education and Business
- Computers & Education Open
- English Language Teaching Educational Journal
- Journal of Interactive Media in Education
-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 Oxford University Press
- Computers & Education
- In D. Liu et al. (Eds.),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in Education
- Orion Press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udies
-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 In D. K. Deardorff (Ed.),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 UNESCO Publishing
- Harvard University Press
-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 Emerging Science Journal
-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 Electronic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