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 Methodological Approach to Exploring Fire Safety Perception Types among Fire Safety Maj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소윤(So-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9 No.4, 54~69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K대학 건축소방안전학과 재학생 59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소방안전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과 차별적 교육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방주도 실천형’, ‘규범수용 책임형’, ‘판단기반 대응형’, ‘주의회피 수동형’, ‘신속대피 반응형’ 등 5가지 인식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대학생의 소방안전 인식이 단일하거나 일률적이지 않고, 주관성과 가치지향에 따라 상이하게 구조화되어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각 유형은 태도, 책임감, 실천 방식, 위기 반응 양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별 맞춤형 소방안전 교육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소방안전 교육 분야에 적용한 실증적 사례로서, 향후 실천기반 안전교육 설계와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정책 수립에 유용한 이론적·교육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classify and analyze the perception types on fire safety among 59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al Fire Safety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distinct perception types: “Proactive Prevention-Oriented,” “Norm-Accepting Responsibility-Oriented,” “Judgment-Based Response- Oriented,” “Caution-Avoidant Passive,” and “Quick-Evacuation Reactive.” These findings empirically demonstrate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fire safety are not uniform or one-dimensional but rather structured diversely based on subjectivity and value orientation. The types exhibited notable differences in attitudes, sense of responsibility, behavioral approaches, and response patterns,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fire safety education strategies tailored to each perception type. In particular, this study serves as an empirical case for systematicall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o the field of fire safety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found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ractice-based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safety culture in higher education context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4호 목차
- 화학반응 메커니즘에 따른 수소-공기 혼합물의 최소 점화 에너지 전산 해석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경화시간이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
- 공장건축물 화재확산 지연을 위한 수막설비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 기반 건설현장 화재와 기상 조건의 관계성 및 위험요인 분석 연구
- Q 방법론을 활용한 소방안전 전공 대학생의 소방안전 인식유형 탐색연구
- 스프링클러 헤드 기울기가 살수 밀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 내부압력 저감 설계를 통한 군용 리튬 1차전지 안전성 개선에 관한 연구
- 산림화재 대응 환경에서의 방화복 착용 방식에 따른 방호성능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