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림화재 대응 환경에서의 방화복 착용 방식에 따른 방호성능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omparative Study on the Protective Performance of Firefighting Gear Under Wildland Firefighting Conditions
발행기관
한국화재소방학회
저자명
양지현(Ji-Hyun Yang) 김태선(Tae-Sun Kim) 권진석(Jin-Suk Kwon)
간행물 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9 No.4, 39~4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 산림화재 대응 체계는 산림청과 소방청의 역할이 이원화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소방대원이 산불 진화 및 잔염 처리까지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소방대원은 산악 활동에 따른 피로도와 열적 부담을 경험하며, 통기성과 경량성을 고려한 방화복 착용 방식의 개선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복 내피 착용 유무 및 산불진화복의 방호성능과 화상 위험성을 비교하기 위해 산림화재 환경을 모사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평풍동실험장비를 활용하고 점화원으로 참나무 장작과 낙엽을 사용하여 복사열, 비화, 화염접촉 등 NFPA 1144에서 제시한 산림화재의 주요 특성을 반영하였다. 실험조건은 (1) 방화복 내·외피 착용, (2) 외피 단독 착용, (3) 산불진화복 착용의 세 가지로 설정하고, 인체 주요 부위별 온도 상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내·외피 착용 시 최대 64%의 열 차단효과가 있었고, 외피 단독 착용은 약 51%, 산불진화복은 약 43%의 차단 효과를 보였다. 산불진화복은 활동성이 우수하나, 높은 복사열 또는 직접 화염 노출 환경에서는 열 차단 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림화재 대응시 활동 강도와 위험 수준에 따라 적절한 방화복 착용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South Korea, firefighters are increasingly involved in wildland fire suppression, despite a dual-response system between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Fire Agency. This leads to significant physical and thermal stresses, highlighting the need for lightweight and breathable protective gea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hermal protection and burn risk of three firefighting clothing configurations under simulated wildland fire conditions using a horizontal wind tunnel. Oak logs and pine needles were used as ignition sources to reflect radiant heat, firebrands, and flame contact, as defined in NFPA 1144. The tested conditions included (1) full turnout gear, (2) outer shell only, and (3) wildland firefighting gear. The increase in temperature in key body regions on a mannequin was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ermal blocking efficiencies of 64% (outer + inner), 51% (outer only), and 43% (wildfire protective suit). Although wildland gear improves mobility, its thermal protection is limited. Appropriate gear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ask intensity and heat exposure during wildland firefighting.

목차

1. 서 론
2. 실험방법
3. 실험 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지현(Ji-Hyun Yang),김태선(Tae-Sun Kim),권진석(Jin-Suk Kwon). (2025).산림화재 대응 환경에서의 방화복 착용 방식에 따른 방호성능 비교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9 (4), 39-47

MLA

양지현(Ji-Hyun Yang),김태선(Tae-Sun Kim),권진석(Jin-Suk Kwon). "산림화재 대응 환경에서의 방화복 착용 방식에 따른 방호성능 비교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9.4(2025): 39-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